새해 들어 각종 생활물가가 빠르게 치솟고 있다. 채소 등 신선식품 가격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오른 데다 외식업계 물가마저 꿈틀거리고 있다. 대전지역만 살펴보더라도 보더라도 고구마와 상추가 전년대비 30%대의 인상폭을 보였고 과채류와 수산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부 자영업자와 외식 프랜차이즈업계도 가격인상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계절적인 요인이 없는 건 아니지만 연초 최저임금 인상이 핑곗거리가 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서민들로선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하소연을 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동안 물가인상 요인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금리가 오르고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물가를 불안케 하는 것은 분명하다. 물가 인상과 관련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통상 연초에 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며 최저임금 인상요인으로만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인상을 부추긴다는 지적에 대한 일종의 해명인 셈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영업자나 외식업계가 내세우는 건 최저임금 인상이다. `적자를 면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햄버거 전문점과 치킨 체인점 등이 일찌감치 제품 가격을 올렸거나 인상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다. 여기에다 연초 가격조정이 이뤄지는 공공요금까지 인상된다면 물가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물가는 일종의 심리다. 하나가 오르면 덩달아 오르는 게 물가다. 조기에 잡지 못하면 줄 인상으로 이어질수가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특수를 노린 숙박요금이 천정부지로 오른 적이 있다. 이를 잡자 이번에 음식 값이 올라 논란이 되고 있다. 더구나 올핸 지방선거가 있는 해이다. 단속이 느슨한 틈을 타 너도나도 가격인상에 나설 소지가 다분하다. 새해 벽두부터 오른 생활물가가 주는 부담은 결코 가볍지가 않다. 다음 달이면 민족의 명절인 설이다. 잠잠하던 물가도 이맘때면 꿈틀대기 마련이다.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더 늦기 전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