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리노베이션이 본격 추진되는 모양이다. 대덕특구는 조성 40년이 되면서 체질 개선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지만 시대와 상황에 맞는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90년 대 중반 이후 과학기술도시로 위상을 확보했고, 2005년 연구개발특구로 전환했음에도 창업과 일자리 창출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곳으로 재탄생해야 할 시점에 리노베이션이 논의되고 있다니 만시지탄이다.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균형성장을 정책화하는 새 정부와 호흡을 맞춰 4차 산업혁명의 전진기지이자 메카로 탈바꿈하도록 해야겠다.

현재 대덕특구의 면적은 2개구 32개 법정동에 걸쳐 6780만㎡에 이른다. 대덕연구단지뿐 아니라 대덕테크노밸리와 북부 그린벨트지역 등을 포괄한다. 특히 녹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60% 이상을 차지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유휴 공간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신동지구 연구용지, 특구 내 유휴부지 등의 활용도를 놓고 논란을 빚기도 했다. 리노베이션 방안으로는 특구 내에 소규모·고밀도의 도시형 복합혁신지구를 5-7곳 조성하는 방향 등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2014년 `대덕연구단지 리노베이션(토지이용) 계획` 용역 발주를 계획했다가 유야무야된 전철을 밟아선 안된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과학기술중심 지역혁신 기본방향`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연구개발특구와 과학특구, 지역대학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클러스터들이 상생하는 혁신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걸 맞는 특구 리노베이션 논리를 적극 개발하고, 국가 정책에 반영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일이다. 정책연구 용역 등의 방식으로 철저한 준비를 하라는 얘기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덕특구는 혁신역량과 혁신체제의 고도화가 절실하다. 충청권과 대한민국의 새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차원에서 특구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