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대표되는 3대 핵심 증상을 보이는 소아 정신질환의 한 종류이다.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ADHD로 병원을 찾은 20세 이하 ADHD환자는 4만 9623명으로 2003년 집계된 1만 8967명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증상과 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초등학교부터 두드러 지는 ADHD= ADHD 아동들은 또래 아이들에 비해 부산하고 통제가 어려우며, 다른 아이보다 시끄럽게 놀거나 놀이를 할 때도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지 못해, 무례하게 보이는 돌발적인 행동을 종종 한다. 때문에 유치원 선생님 등으로부터 종종 장난이 너무 심한 아이라는 평가를 듣게 된다. 하지만 문제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은 초등학교 입학이라는 구조화된 환경에서부터이다. 수업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어야 하며, 각종 받아쓰기와 읽기 등 인지 능력 중에서도 주의집중력을 요하는 과제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ADHD를 가진 아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ADHD의 증상= ADHD 아동 중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이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조용하지만 주의력결핍이 나타나는 주의력결핍 우세형도 있다. 주의력 결핍을 보이는 아동은 흔히 부주의한 실수를 많이 하고 주의집중을 잘 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않고, 조직화 및 체계화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주로 보이는 아동의 경우에는 안절부절 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움직이거나, 말을 많이 하거나,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하고, 자기 통제력이 떨어지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한 반에 한 두 명이 발견될 정도로 흔한 ADHD는 핵심 증상 이외에도 감정 조절을 잘 못하고, 체계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 저하돼 있으며, 또래 관계에서 문제가 생겨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마찰이 빈번하다.

◇ADHD 진단= ADHD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면담 및 행동 관찰, 설문지 검사,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 인지 평가 등을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된다. 산만하다고 해서 꼭 ADHD가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수적이다. 진료를 통해 산만함이 나타날 수 있는 신경학적 질환이나 정서 불안으로 인한 문제 행동, 아동기 조증 등과 구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잘못된 양육 때문에 생기는 증상 아냐= ADHD에 대해 흔히 갖는 편견 중 하나는 잘못된 양육 때문에 발생한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보면 ADHD는 잘못된 양육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뇌 기능의 생물학적인 차이에서 기인한다. 다만 ADHD 아동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일반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모의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이 나타나 결국 가족 관계 혹은 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적극적인 치료로 호전될 수 있어= ADHD는 약물 치료를 통해 아동의 주의력 개선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 조절 면에서 70-80%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약물 치료 외의 비약물적 요법에는 행동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 부모 교육 등이 있다. 이 중 사회성 기술 훈련은 평소에 눈치가 없거나 충동적이어서 또래 관계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또 부모 상담을 통해 ADHD 질병교육 및 양육 코칭이 이뤄진다면, 부모 자녀 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제때 치료받는 것이 중요= 자녀의 ADHD가 의심된다면, 신속하게 소아정신과 전문의를 찾아 적극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냥 어려서 그런 거겠지`하며 막연하게 낙관하는 것은 결국 더 큰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ADHD를 가진 아동의 70% 이상이 청소년기까지 증상이 지속되며, 청소년기 ADHD의 약 50-65%는 성인까지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 아동에 비해 ADHD를 가진 청소년은 학습 능력 저하, 학교생활 태만, 컴퓨터 게임 중독 등의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한 경우 약물남용, 우울 및 불안장애, 청소년 비행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증상이 처음 발생했을 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평가를 받고, 필요하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증상으로 인해 문제 행동을 없애주고, 이차적인 적응의 문제를 예방하는 최선의 길이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참고이미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참고이미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