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임용 추천 문제를 둘러싼 공주대 학내 갈등이 악화일로에 있다. 여기에 더해 지난 5일엔 대학본부 측 주도로 진행된 온라인 투표 집계 결과, 이른바 1순위 후보자 임용 불수용 의견이 과반을 넘긴 것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이에 맞서 1순위 후보자 측은 투표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반발하고 있고 그럼에도 대학본부 측은 새 후보자 선정 절차를 거친 뒤 교육부에 추천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유컨대 공주대는 총장 자리를 두고 두 열차가 마주보고 달리는 `치킨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공주대 총장 부재 기간이 어느 덧 46개월째다. 애초 전 정권에서 가부간에 결론을 내렸더라면 4년 임기가 끝나갈 무렵인데, 그때 총장 임용 시계가 멈춰지면서 그에 따른 대학 구성원들과 지역사회의 후유증과 피로감이 쌓여가는 상황이 안타깝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나마 정권이 바뀌고 난 뒤 문제 해결의 출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됐지만 정상화의 길로 접어들지 못하고 어찌 보면 사태를 한번 더 꼬이게 한 측면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교육부는 총장 임용제청권을 쥐고 있는 주체다. 다만 그 이전 단계인 추천 부분과 관련해 대학 측에 수용 여부를 학인하겠다는 자세는 나쁘지 않았으나 결과적으로 이로 인해 갈등 구조가 심화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봉합은커녕 생채기가 커지는 작금의 공주대 내홍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더 문제는 앞으로 상황이 호전될 모멘텀이 마땅치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진영논리` 비슷한 것을 벗어 던지지 않는 이상, 반전 국면이 전개될 가능성은 갈수록 희박해 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바깥에서 작용하는 방법도 고민해 볼 수는 있을지 모른다. 중립·공정성이 담보된 중재기구를 가동해 양측이 동의할 수 있는 최대치를 이끌어 내보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공주대 학내 갈등 구조에서 이런 게 과연 먹히겠는지 장담하기 어렵다. 사태의 경과가 좋지 않고 타협·접점의 공간도 대단히 협소해져 버린 마당이다. 그래도 공주대 총장 사태 실타래는 풀거나 풀려야 하며, 지역사회 공동체 차원에서도 지혜를 더 모아봐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