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열렸던 대전문화재단에 대한 대전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춘아 재단 대표의 말문이 막힌 때가 두 번 있었다.

한 번은 대전문화재단의 운영 및 행정 미숙으로 인한 대표의 책임론이 제기됐을 때이고, 또 한 번은 대전국제기타콩쿠르 수상자들의 상금에 대한 질문이 나왔을 때다. 이춘아 대표는 김경시 대전시의회 의원이 "재단의 운영 등에서 문제가 지속 제기되는 건 대표의 리더십 문제로 백의종군할 생각은 없는가"라는 질의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대전시 출연기관의 기관장이 행감에서 자신의 거취에 대한 질의에 `답변하지 않는 것`으로 답하자 김 의원도 당황한 듯했다.

앞서 김 의원이 재단 운영에서 불거진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논란이 나온다"는 질문에는 "부덕의 소치"라며 답변을 갈음했다. 예상 질문에 준비된 답변이었다. 그러나 계속 이어지는 김 의원의 `책임론` 추궁에 그는 결국 답변을 하지 않았다. 대표이사의 직책에 있는 이의 자세로는 분명 아쉬운 점이 있었다.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의 행감에서 대전문화재단은 뜨거운 감자였다. 그만큼 대전문화재단에서 불거지는 문제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재단의 입장에서도 답답한 부분은 분명 있을 테다.

그러나 대표이사의 직책을 지닌 이가 책임론에 대한 답변으로 `부덕의 소치`라는 발언을 하는 것을 보면서 그가 과연 `직책`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지 안타까웠다.

`부덕의 소치`는 `내가 직접 잘못한 일은 아니지만 내 탓으로 돌리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 대표 취임 후 지난 1년간 재단에서 발생한 일련의 논란들에 대해 과연 그의 직접적인 책임은 없었을까.

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직책이다. 직 유지는 본연의 임무를 성실히 하고 책임을 제대로 질 수 있을 때 유효하다.

대전문화재단에 이어 대전예술의전당을 대상으로 한 행감 질의에서도 답변자로 나선 관장의 방어적 답변은 이어졌다. 보다못한 시의원이 해명이 아닌 명확한 답변을 하라고 질타하자 그제야 대전예당의 운영 미숙을 인정했다. 실수를 인정하자 대책에 대한 제언도 나왔다.

자리 유지만 의식한다면 조직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동안 대전문화재단뿐 아니라 여타 조직을 보면서 얻게 된 학습효과에서 이미 결말을 충분히 알고 있다. 조직, 나아가서 지역 문화예술계의 발전을 놓고 본다면 과감한 결단이 필요할 때도 있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