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오전 경기도 일산대교에서 14중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노면이 얼어붙으면서 제동거리가 길어진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주변에 강이 있는 지역은 눈비가 내리지 않아도 새벽에는 타 지역보다 서리가 많이 내린다. 특히나 다리 위는 지열이 전달되지 않고, 위아래로 부는 바람에 일반도로보다 기온이 몇도 더 낮다. 결국 일반도로의 경우 아침에 녹아 없어지는 서리가 다리 위는 몇 시간 더 유지되는 것이다. 노면의 마찰계수가 빙판길과 비슷할 정도로 떨어지면서 제동거리가 2배 이상 길어지게 된다. 보통 시속 100㎞ 주행 시 젖은 노면의 제동거리는 50m 내외이며, 타이어 메이커별로 44-56m 정도를 나타낸다. 문제는 죽기 살기로 브레이크를 밟았을 경우가 이 정도 라는 것이고, 앞차의 제동상황을 보면서 브레이크를 살짝 밟았다가 위험하다 싶을 경우 꽉 밟는다고 가정하면 70m 이상 길어질 수 있다. 그래서 고속도로에서 안전거리를 100m 이상으로 하라는 것이다. 물론 앞차도 어차피 미끄러지는데라고 주장하며 안전거리를 30-40m 미만으로 유지하는 분들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이유는 화물차에서 낙하물이 생길 수 있고, 앞차가 그 앞차와 추돌하면서 바로 정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은 살짝 결빙된 도로에서 안전거리를 평소처럼 유지하다 연쇄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사고가 난 지역에 블랙아이스가 있었다는 목격담이 있다. 겨울철에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낮 동안 다소 포근한 기온에 눈이 녹은 후 아스팔트 틈새로 스며들 수 있다. 밤에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 녹았던 물기가 도로의 기름 및 먼지 등과 섞여 까맣게 얼게 된다. 까맣고 반짝반짝 하면서 눈에 잘 안 띄는 특성으로 인해, 블랙아이스라고 부른다. 물론 블랙아이스는 수십m 규모의 큰 범위로 얼어 있지는 않지만, 살짝살짝 미끄러져 운전자를 놀라게 하고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블랙아이스는 가까이 다가가면 오히려 눈에 안 띄는 경우가 많고, 다소 거리가 있을 때 반짝이는 것이 보인다. 야간에는 반대차선의 라이트 불빛이 반사되는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운전 중에 블랙아이스가 발견되면, 미리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앞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한 후에 블랙아이스 구간은 가능한 브레이크나 핸들 조작 없이 지나가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에는 염화칼슘 등의 영향으로 도로 곳곳이 파이고, 구멍이 난 포트홀이 제법 많이 존재한다. 이런 부분에 눈이나 비가 고이기 쉽고, 여름철과 같이 증발이 쉽게 되지 않은 날씨 탓에, 야간이나 새벽에 얼면서 블랙아이스가 생성되는 것이다.

겨울철 차량 운전은 늘 조심스럽다. 그런데 다중 추돌사고는 눈이 잔뜩 쌓여 있는 한 겨울보다, 지금과 같이 막 겨울이 시작되거나 이른 봄철과 같은 환절기의 새벽에 많이 발생한다. 도로가 얼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안 하기 때문이다. 특히 북향으로 늘 그늘져 있는 도로의 경우, 결빙이 빨리 오고 오래 유지된다. 이럴 경우 제동거리는 최소 2배에서 최대 10배 가까이 늘어난다. 그래서 필자는 장거리운전을 하면서 산악지역으로 접어들거나 그늘진 산모퉁이 도로를 이용할 경우 전후좌우를 살핀 후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브레이크를 살짝 밟아 노면 상태를 체크한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