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때 시·도지사 출마를 곁눈질하는 대전·충남권 의원들의 노출 빈도가 잦아지는 추세다. 제제다사(濟濟多士)라는 말처럼 실제로 유능한 인재들이 널려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찍힌다. 중앙 정치권 경험에다 그 쪽 생리를 잘 알고 있을수록 단체장직 수행에 탄력성이 붙게 될 것이고 거기에다 정부 부처를 상대로 여러 개의 끈이 닿는 인물이라면 본 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여지는 있다.

대전·충남 출신 현역 의원들 다수의 이름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현실은 좀 유별나다. 너도나도 지방선거행 티켓을 끊겠다고 나서는 형국이어서 더욱 그렇다. 지역 대표성이나 상징성과 관련되는 인물들이 중앙무대에서 빠지게 되면 그 자리를 비례적으로 대체하기란 쉽지 않다. 이는 여야를 불문하고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고 가뜩이나 여권 인사들이라면 의원직이든 정무직이든 현직을 내려놓게 되는 상황을 감안할 필요가 있을 듯 싶다. 특히나 현역 의원들이 지방선거로 갈아타면 이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통해 그 자리를 메워야 한다. 만일 그때 현직 기초단체장중에서 최종 후보자가 결정되면 그의 잔여임기를 놓고 2차 번외선거를 치르는 국면이 전개될 수 있다. 선거가 선거를 낳는 꼬리물기 선거만 하다 세월을 다 보낼지도 모른다. 예컨대 A의원과 B의원이 충남지사 후보 공천을 받아 여야가 맞붙는 프레임이 짜여진다면 최소 2곳의 재보선 사유가 확정될 것이고, 당해 선거 때 내년 6월 현직 기초단체장중 또 누군가가 도전하게 되면 유권자들은 1년도 안돼 시장 또는 군수를 다시 뽑는 상황도 연출될 수 있다.

지역 정치지형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는 것은 대전시장·충남지사 선거의 경우 현직 프리미엄이 사라졌거나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른바 무주공산인 구도에서 적기로 보는 충청 의원들이 적지 않다는 얘기다. 일면 이해되는 구석이 없지는 않으나 각자 자신의 처지를 직시해 운신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문한다. 과연 능력과 경쟁력은 있는지, 그리고 유권자들에게 소구력이 얼마나 있을지 등에 대한 자기검열이 먼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