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시·군 폐석면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 10명 중 4명이 석면질환에 노출됐다고 한다. 최근 2년간 공주·청양 등 7개 시·군 폐석면광산 주변 반경 2km내에 10년 이상 거주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충남도 조사 결과다. 해당지역 주민 3323명 가운데 39.3%인 1307명이 석면질환 의심자로 나타났다. 조사를 하지 않은 나머지 시·군까지 확대할 경우 석면질환 노출자는 훨씬 늘어날 것이라는 건 자명한 일이다. 이처럼 많은 주민이 석면 질환에 집단으로 노출된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일이다. 이는 전국 폐석면광산의 66%가 충남에 몰려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당국이 인정한 석면피해자 거주지 조사결과도 다를 바 없기는 마찬가지다.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석면피해구제법에 의해 석면피해자로 인정 된 2334명 가운데 38.7%인 903명이 충남에 몰려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충남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한 경기도의 360명에 비해서도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충남도내 석면광산 주변 주민들이 오래전부터 석면 위험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왔음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석면광산이 문을 닫았다고 해서 안심할 일이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석면에 노출될 경우 길게는 15-3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나 악성 중피종 등을 유발한다고 한다. 폐광이 됐어도 석면피해가 오랜 뒤에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홍성과 보령 석면광산 인근 주민들의 석면 폐질환 집단 발병사실을 정부가 확인한 건 9년 전이다. 해당 광산은 이미 40년 전에 폐쇄됐지만 30년이 지나 피해가 드러난 셈이다.

폐광산 주변 주민들의 석면질환은 오래전 석면광산이 원인일수도 있지만 폐광이후도 배제할 수는 없다.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위험을 방치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석면광산으로 오염된 농경지나 지하수가 늦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석면광산 인근 주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다. 아울러 폐석면광산에 대한 관리와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도 세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