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벗어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소식은 참담하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근간이거니야 고용 창출과 세수 증대, 지역 브랜드 제고 같은 고부가가치의 중소·중견기업들이 왜 대전을 떠나는지 근본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2014년 7월부터 이달까지 대전에 기반을 둔 기업이 세종시와 투자유치 협약을 맺고 이전한 경우는 5곳이나 된다. 광학기기 제조사인 에스피오와 이텍산업, (주)한국전자파연구소, 화인TNC, 그린솔 등이 대전을 등졌다. 잘 풀리는 집 화장지로 성가를 올리고 있는 미래생활(주)은 지난 9월 공장에 이어 대전본사를 세종으로 옮겼다. 앞서 삼영기계와 알루코(옛 동양강철), 영보화학, 장충동왕족발 등 대전의 향토기업도 타지역으로 이전했다.

기업의 본사와 공장 입지를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부지 비용과 함께 물류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 직하다. 그런 측면에서 대전시의 경쟁력이 비교우위에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다만, 기업들이 떠나면서 다른 자치단체들이 내세운 지원금과 세제 혜택 등에 이끌렸음을 토로하는 건 시사하는 바 크다. 사세가 커지면서 부지를 확장하려 해도 산업용지가 부족한 데다 다른 지자체보다 기업 우대나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수십 년 연고의 대전을 벗어나게 된다는 얘기다. 기업을 유치해도 모자랄 판에 언제까지 탈(脫)대전을 지켜만 볼 텐가.

이는 제 4차 산업혁명 도시를 지향하는 대전시의 정책기조와도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벤처 같은 첨단 분야의 기업 유치로 지역 인력 채용을 늘려야 할 상황에서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니 시의 행정력에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자치단체가 기업유치에 다 걸기 하는 건 고용 증가와 세수 증대로 지역을 살찌우기 때문이다. 기업 땅값을 내리고 여러 지원을 하면 기업은 오지 말라고 해도 몰려 온다. 시의 경우 기존 투자유치 조례상 기업이 100억 원 이상 투자를 했을 때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조항만 보더라도 기업 유치 의지가 있는 지 묻지 않을 수 없게 한다. 4차산업혁명 도시 운운하기 앞서 기업 이탈부터 막을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