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왕의 공주대 총장 1순위 후보자에 대해 현 정부 교육부가 그제 적격 통보를 해왔다고 한다. 4년 전 공주대는 총장후보자 추천 선거를 실시해 1, 2순위자를 선정했으나 전임 정부에서 일괄 배척을 당하는 바람에 총장 공백 사태가 44개월째 지속돼 왔다. 그러다 정권이 바뀐 뒤 현 정부가 국립대 총장임용개선 방안을 제시하면서 멈춰 섰던 총장 추천·임용 시계가 돌아가기 시작했으며 비로소 1순위 후보자의 심의 결과가 공주대에 회신됐다.

대통령이 공주대 총장을 임용하려면 이번 교육부 판단과 관련해 대학 측이 구성원 의견을 수렴해 그 결정 내용을 교육부에 통지하는 절차적 확인 과정이 남아있는 모양이다. 1순위자에 이의가 없으면 그대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고 만일 대학 구성원 총의가 다른 결론을 내리는 경우 공주대 총장 사태를 둘러싼 또 다른 양태의 진통이 잉태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지금 대학내 기류를 볼 때 1순위 후보자 측과 그에 부동의하는 측 사이에 문제 해법에 대한 유의미한 단층선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쟁점은 적격 후보자 수용 방법론이다. 한쪽은 학생, 교수, 직원 3주체가 모여 결정을 내리는 게 타당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반면, 이와 시각을 달리하는 쪽에서는 교수, 직원, 조교 등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투표를 통해 해결하자는 주장으로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요컨대 1 순위 후보측은 이른바 `3 주체`를 꾸려 빠른 수용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응해 비(非)1순위 측은 적정선으로 표집된 학내 구성원들에게 온라인 투표에 의한 과반 의사로써 수용 여부를 확인해보자는 것이므로 이 지점에서 간극이 발생한다. 한쪽이 양보하지 않고 양측 의견이 계속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도 상정해볼 수 있다.

정부 당국이 던진 공을 넘겨 받은 순간, 공주대는 총장 공백 사태에 마침표를 찍을 직접 주체로서 책임성이 한층 무거워졌다. 전임 정권 비판할 때는 `동지애적`이었지만 44개월이 지나면서 내부 정서에도 갈래가 생겨났다. 이제부터는 그간의 기회비용을 밑거름 삼아 대학 집단지성의 힘을 보여줘야 할 때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