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이 가시권으로 들어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주 전체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25%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란 예상에 따라 시장은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입에 쏠렸다. 이 총재는 "경기 여건이 금융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정도로 성숙했다"고 두 달 연속 깜빡이 신호(통화 긴축)를 보냈다.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금통위원의 소수 의견도 6년 1개월 만에 나온 상황이고 보면 기준 금리가 올라가는 건 시간 문제다.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는 약 10년간 저금리·유동성의 시대를 구가했다. 하지만 현재 분위기나 기조는 사뭇 달라졌다. 금리상승·긴축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각국 중앙은행들이 돈을 거둬 들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지난해 말부터 정책금리를 인상하고 보유자산 축소에 나섰다. 유럽과 일본도 경기부양 정책을 어떻게 거둬들일 것인가를 저울질하며 유동성 흡수에 나설 전망이다. 문제는 안 그래도 허약한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파다.

한국 경제는 통화 완화정책에 힘입어 경기 회복에 도움을 받았지만 부동산가격 폭등과 가계부채 급증, 좀비기업 양산 등 부작용을 낳았다. 기준금리가 다음 달 1.50%로 인상될 것이란 시장의 예상이 적중 한다면 당장 부동산 시장과 한계 가구 등이 심대한 타격을 입는다. 보다 신중하게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시각이 없지 않지만 `북핵 불확성실`에도 금리 인상 신호가 나왔다는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선제적 대응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때맞춰 정부는 내일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한다. 1400조 원을 훌쩍 넘어선 가계부채를 수술대에 올리는 게 핵심이다. 대출 시스템을 포함한 부동산 대출규제로 체질 개선을 도모할 걸로 보이건만 관건은 막다른 데 몰린 다중채무자와 저신용·저소득자, 한계가구의 타격을 최소화하느냐 여부다. 들썩이는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 대출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면서 내수와 수출 확대를 위한 정교한 로드 맵이 필요하다. 가계는 가계대로 뼈를 깎는 자구책을 통해 부채를 줄여나가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