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여야 의원들의 질문이 집중됐다. 지난 9월 발생한 북한 핵실험에 따른 지진규모 측정값이 국가마다 다른 이유와 2차 함몰지진의 발표가 다른 나라보다 늦어진 이유, 기상청과의 관계가 질문의 핵심이다.

우선 북한 핵실험에 따른 지진규모 측정값이 미국과 중국보다 낮은 것을 두고 야권은 문재인 정부의 북핵에 대한 소극적 대응기조를 의식해 고의로 지진규모를 축소한 것이 아니냐고 따졌고, 여권은 이를 방어했다.

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은 "6차 핵실험 인공지진 규모는 지질연구원이 5.7로 측정했는데 중국과 일본에 비해 낮다. 이는 정치적 오해를 살 수 있는 소지가 있다"며 "북핵위기가 최고조에 달한 이때 지진규모에 관한 정확한 관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단 박대출 의원도 "현 정부가 북핵에 너무 축소 지향적이고 소극적인 상황이어서 지질연구원마저 정권의 눈치를 보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이에 신중호 지질연구원 원장은 "측정값의 차이는 계산 방식의 차이다. 미국과 중국은 인공지진을 측정할 때도 자연지진식을 쓰기 때문에 우리와 차이가 있다"며 "국내에서는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다른 식을 적용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도 신 원장을 거들었다. 박 의원은 "휴전선 인근에 기상청과 지질연구원의 포괄적핵실험관측시설이 있는데 이는 동아시아 최대 규모다. 인공지진 핵실험과 관련해서는 가장 정확한 계측이 되는 곳"이라며 "측정값이 다른 나라와 다른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의 계산식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북핵 실험으로 인한 1차 지진 이후 중국은 24분만에 2차 함몰지진을 발표했는데, 우리나라는 핵실험 다음날 발표된 것을 따져 묻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신경민 의원은 "우리나라 현안이 많지만 그중에서 제일 큰 현안이 북핵문제다. 지난 핵실험에서 중국은 24분만에 2차 함몰지진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하루 뒤에 이를 발표했다"며 "기상청에 보낸 보고서에도 2차 함몰에 대해서는 보고서 맨 뒤에 한 줄로 붙여놨다. 2차 함몰에 대한 판단을 잘못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신 원장은 "2차 함몰 지진이 1차 지진 후 한 시간 뒤 파악됐는데 1차 지진의 정밀한 분석이 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가치판단을 못했다"고 시인했다.

지질연구원과 기상청의 불협화음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북핵 실험 지진규모 발표당시 원활한 업무공유가 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2차 지진에 대한 발표에 혼선을 빚었기 때문이다.

한국당 김정재 의원은 "국가 안보의 엄중한 상황 속에서 두 기관의 불협화음이 감지됐다. 북한 인공지진 발표 관측과 관련해 지질연구원과 기상청은 업무 혼선을 일으켜 국민의 신뢰를 심각히 훼손했다"며 "지질연구원은 지진 분석결과를 기상청과 공유하는데 2차 지진에 대해서는 북한 핵실험 당일 기상청에 언급을 하지 않았고, 기상청은 오후 3시 중국의 발표와는 달리 2차 지진이 없었다는 오보를 냈다"고 지적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