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학교가 석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를 사용한 뒤 조치를 취하지 않은 탓이다. 안민석 국회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와 특수학교 2만 964곳 가운데 석면 건축자재가 남아 있는 건물은 62.3%인 1만 3066곳으로 나타났다. 충청지역에서도 충남 846곳, 충북 594곳, 대전 305곳, 세종 21곳으로 집계됐지만 다행이 모두 `위해성 낮음` 판정을 받았다.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는 장소로 다른 어느 곳 보다도 쾌적한 환경을 갖춰야 한다. 그럼에도 많은 학교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석면 건축자재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석면 건축자재도 문제지만 이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 여름방학 중 석면 위험이 높은 전국 1226개 학교에서 석면철거 공사를 진행했다. 환경부와 교육부 등이 `사후안전성 확인` 결과 상당수 학교에서 석면해체 작업이 끝난 뒤에도 석면분진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철거작업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학생들이 사실상 석면분진에 무방비로 노출된 셈이다. 더욱이 일부 지역에선 여름방학동안 철거공사를 하면서 마무리를 하기도 전에 학생들을 등교시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철거 후 왜 석면 잔재물이 남아있는지 철저히 규명하라"면서 "검출 학교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는 물론 차제에 석면 해체 작업장과 주변 환경의 안전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라"고 주문한 것은 석면의 위험성을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침묵의 살인자`로 불릴 정도로 석면이 치명적이라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다. 위해(危害) 정도와 상관없이 전국 1만 3000곳이 넘는 학교의 석면 건축물은 조속히 철거돼야 마땅하다. 막대한 예산과 방학기간 동안 공사를 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지만 그렇다고 마냥 늦출 수만은 없다. 오는 2027년까지 모두 철거하겠다는 정부 계획을 좀 더 앞당길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하루라도 빨리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공부를 할 수가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