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치러진 2017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 경쟁률이 평균 129.6대 1이었다고 한다. 222명을 선발하는 시험에 2만 8779명이 지원했다. 1명의 합격자를 위해 128명이 들러리를 선 셈이다. 최근 5년간 시험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니 공직을 희망하는 풍토를 감안해도 지나친 쏠림이다. 속내를 들여다 보면 사상 최악의 취업난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니 청년 일자리 정책을 가다듬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세계 경제에서 유독 한국의 실업률만 악화일로다. 경제 주축이 돼야 할 청년층 실업률은 더욱 심각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회원국 청년층 실업률 평균은 6년 연속 하락했건만 한국은 4년 연속 증가했다. 한국의 청년층 실업률은 2014년(10.0%) 두 자릿수에 재진입한 데 이어 2016년 10.7%로 4년 연속 올라갔다. 구제 금융의 그림자가 남아있던 2000년(10.8%)에 근접한 것으로 청년 고용절벽의 실상을 보여주기 충분하다.

일자리 만들기를 표방한 새 정부가 출범한 지 5개월이 다 되도록 고용정책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한 게 무색하다. 공무원 및 공공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다가 공무원 시험족(族)과 취업포기자를 양산하는 건 아닌 지 돌아볼 일이다. 민간 일자리 확대를 늘리는 대신 거꾸로 된 정책을 더 이상 고집해선 안될 시점이다. 일자리 창출에 있어 민간 부문의 적극적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규제 철폐 같은 걸 미룰 이유가 없다.

취업준비생의 목소리를 경청해보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해야 할 일도 명확해진다. 최근 대전대에서 열린 대전시장과 함께 하는 토크콘서트에서 대학생들은 기업채용박람회 개최를 요청했다. 기업 및 채용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만남의 장을 만들어달라는 하소연이다. 사실 청년층 실업은 `일자리 미스매치` 같은 구조적 문제로 인해 해결이 쉽지 않긴 하다. 하지만 현재의 고용 절벽 상황을 고려할 때 시간이 많지 않다. 정부의 정책 전환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