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제재를 비웃기라도 하듯 북한의 도발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지난달 29일에 이어 15일에도 일본 상공을 지나 북태평양까지 날아간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또 발사했다. 올 들어 17번째이자 새 정부 들어 10번째 탄도미사일 도발이다. 6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원유공급 축소 등이 포함된 대북 제재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된 지 불과 사흘만이다. 전날 우리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800만 달러의 대북 인도적 지원계획을 밝혔지만 이마저 무색하게 만들었다. 국제사회가 어떤 제재를 하든 상관없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그동안 북한이 도발할 때마다 유엔 등 국제사회가 제재 강도를 높였지만 결과적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게 사실이다. 이번 미사일 도발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도록 국제사회와 모든 외교적 방법을 강구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굳건한 한미연합방위태세를 토대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실효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도발억제를 위해 외교적, 군사적 대응방안을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북핵은 우리나라가 대응할 수 있는 범주를 넘어섰다. 한반도 주변 국가는 물론 국제사회의 `문제`가 된지 이미 오래다. 국제사회의 결집된 힘으로 문제를 풀어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그 중에서도 국제사회를 이끌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영향력에 기대를 걸어야 한다. 우리가 국제사회와의 외교적 협력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유엔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오늘 출국한다. 문 대통령은 총회 기조연설에 이어 미·일 등 주요국 정상과 회담도 할 예정이다. 유엔은 다자외교의 무대로 한국경제 설명과 평창올림픽 홍보를 하기에 좋은 기회다. 마찬가지로 북핵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요청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와 압박에 한목소리를 내어달라고 문 대통령이 직접 호소한다면 그 울림을 더욱 커질 수가 있다.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이 국제사회의 북핵 공동대응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