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회가 문제의 `외유 의원들` 덫에 걸려 또 전국적인 망신살을 자초하다시피 했다. 일체의 시발을 따지자면 개별의원들에게 유책사유가 있고 그에 따른 응분의 책임도 그들의 몫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동책임성 부분이 제기될 수 있는데 충북도의회와 함께 상층 지휘부인 의장단의 리더십도 이 대목에서 자유롭지 못함은 물론이다. 특히 충북도의회 대응 방식은 맺고 끊음이 불분명했고 그게 화근이 돼 매를 더 벌고 있는 것 같아 일면 민망하고 일면 딱하다는 생각이 든다.

광역의원은 선출직 공직자 신분이고 의정활동 중의 과오와 오류에 대해 이를 지적하고 비판하면 겸허하게 수용하면 된다. 그런 상식적인 판단을 거부한 채 비판여론과 맞서려 하고 심지어 주권자에게 대드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면 얘기는 심각해진다. 특정의원의 `레밍(들쥐)` 발언에 이어 어제는 자신을 `늑대 우두머리`에 빗대는 사과문을 읽는 바람에 또 다시 긁어 부스럼이 되고 말았다. 캐릭터가 이렇게 유별나면 거반 속무무책이라고 볼 수는 있다. 이렇게 상황이 악화된 데에는 충북도의회가 해당 의원들을 엄하게 징계 조치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동료 의원의 정치생명을 `정지`시키는 일이 결코 쉽다고 할 수 없다. 문제는 그런 온정주의가 부메랑으로 되돌아올 때인데 충북도의회 처지가 딱 그런 구도에 갇혀 있다고 볼 수 있고 보기에 따라서는 `동조화` 경향을 띠는 것처럼 비치기도 한다. 일례로 충북도의회는 연타석 구설에 휩싸인 의원을 어제 임시회에서 새 상임위인 교육위원회로 이동시켰다고 한다. 이에 지역 전교조 측은 "사퇴가 아니라면 왜 굳이 도민들의 부끄러움거리가 된 사람을 교육위로 이동시켰는지 저의를 알 수가 없다"며 "도의회는 이번 결정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모양이다.

외유로 물의를 빚고 징계를 받은 의원들도 충북도의회를 구성한다. 그런데 이들로 인해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격이 됐고 이들을 뺀 다수의 충북도의회 의원들은 보이지 않는 피해를 입고 있다. 제때 `격리` 결정했더라면 이런 낭패는 보지 않았을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