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칼럼] 야외활동땐 긴옷 착용·외출후 목욕 명심

해마다 가을이 되면 쯔쯔가무시 등 열성질환자가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곤 한다. 가을 행락철을 맞아 등산이나 야외로 나들이를 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발생위험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대표질환은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등이다.

렙토스피라증은 들쥐의 대소변에서 나온 균이 피부에 난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질병으로 올해처럼 태풍이나 홍수가 발생한 해 집중적으로 발병하며 가을 추수기나 논에서 일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개, 돼지, 들쥐, 집쥐, 족제비, 여우 등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기도 하고, 감염된 동물의 소변으로 균이 배출돼 늪, 수도, 연못 등 오염된 물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미세한 피부상처를 통해 균이 옮겨져 전파되며, 주로 추수기 전후(7-11월)에 20-70대의 농업종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증상은 처음에는 황달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이해됐지만 무증상 감염증도 많고, 황달이 없는 경증환자가 90% 정도이며, 황달이 나타나는 중증환자는 5-10%에 불과하다. 임상 증상은 광범위한 혈관염에 의한 것으로 급성 열성 질환, 폐출혈, 뇌막염, 간, 신장 기능 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갑작스런 고열, 두통, 근육통, 결막 부종, 오심 및 구토 등이 4-7일간 지속된다. 1-3일간의 무증상기 후에 고열과 뇌막 자극 증상, 발진, 근육통이 나타난다. 중증 감염에서는 간, 신부전증과 전신의 출혈소견, 범발성 응고부전증과 심장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기침, 각혈 등 중증의 폐출혈형도 볼 수 있다. 사망률은 낮지만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황달이나 신장 손상이 있는 경우 주의 깊게 치료하지 않으면 20% 이상의 사망률을 보인다.

쯔쯔가무시는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걸릴 수 있다. 들에서 일을 하는 사람과 야외 훈련을 하는 군인들이 발생하기 쉽다. 매년 2000여 명이 발생할 정도로 많고 특히 충청도 지역에서 발생율이 높다. 주로 가을에 발생하는 병으로서 보통 10일(6-20)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급성으로 발생하며, 고열, 오한, 구토, 복통, 기침, 인두통 등의 증세를 보이다가 발병 후 5-8일 경에 피부 발진, 림프절 비대, 간 및 비장종대, 결막충혈 등이 나타난다. 진드기가 문 곳에는 피부궤양이나 특징적인 가피(eschar)가 형성되며 피부발진은 몸통에 주로 발생한 뒤 몸 전체로 퍼진다.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 발진이 있으면서 급성발열이 있으면 꼭 의심해봐야 한다.

질병이 발생했거나 유행하는 지역의 숲에 가는 것을 피하고 들쥐 등과 접촉하는 환경을 피해야 한다. 야외 활동시에는 되도록 긴 옷을 입고, 주변의 잡초를 제거해 들쥐의 서식처를 없애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야외활동 후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깨끗이 목욕을 해야 한다.

유행성출혈열은 고열과 더불어 혈관을 포함하는 체내의 맥관계통에 특징적인 기능장애를 일으킴으로써 피하에 점상출혈이 나타나고 소변으로 다량의 단백질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는 바이러스성 급성전염병이다.

쥐의 분비물 및 배설물을 통해 전파되며 보통 9-35일의 잠복기간을 거친다. 이 질병은 1년 내내 발생되나 늦가을과 늦봄 건조기에 많이 발생한다. 야외활동이 많아 감염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가 잘 감염된다.

특수 치료요법은 아직 없으므로 환자의 이상에 따라 대증요법을 실시하고, 환자가 쇼크와 신장기 능의 악화로 사망하지 않도록 최대한 안정시키고 즉시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가을철에 유행하는 열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 들쥐의 배설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옷을 입고, 농경지에서 작업시에는 장갑, 장화 등을 착용해야 한다. 또한 야외활동 후에는 꼭 손발을 씻고 세수를 해야 하는 등 기본적인 위생관리를 잘 지켜야한다. 유병연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