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식 KAIST 교수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임명되자 지역 과학기술계는 기대와 함께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대덕연구단지 출신 과기혁신본부장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맡은 직책의 특성상 연구에만 몰두한 임 교수가 과연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는 의문부호를 달았다.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된 임 교수는 그동안 정치권이나 공직에 진출하기 보다는 연구에만 몰두한 연구자다. 그는 암 억제 유전자 기능을 규명한 생명과학 권위자로 현재 KAIST 히포(Hippo) 세포분열·분화창의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KAIST 관계자는 "임 교수는 그동안 규모가 큰 과제를 수행하면서 연구에만 집중했다"고 말했다.

연구자로서의 길만 걸어 온 임 교수에게 과기혁신본부장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하다. 과기혁신본부장은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연구개발(R&D) 예산을 조율하고, 동시에 기획재정부와 예산권을 두고 힘 겨루기를 해야 한다. 또 과학기술기본법 등을 국회와 논의해 통과시켜야 하고,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임 교수가 관료집단과 국회를 상대로 제대로 된 협상을 할 수 있을지, 법 개정과 예산을 통과시키는 절차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대응방안이 있는지를 지역 과학기술계는 우려하고 있다.

연구윤리를 차치하고 문재인 정부가 박기영 교수를 과기혁신본부장에 임명한 것은 청와대 과학기술정책보좌관을 역임하면서 과학계와 정치권이 돌아가는 상황을 체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연구뿐만 아니라 관료·정치권에 대한 높은 이해가 과기혁신본부장으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임 교수의 임명은 박 교수에게 중점을 뒀던 정치력과는 별개로 과기혁신본부의 출범에 무게를 둔 것으로 해석된다. 과학기술계 혁신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과기혁신본부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이 지나고도 돛을 올리지 못했고, 박 교수가 연구윤리 문제로 자진사퇴하는 일을 겪었기 때문에 조직의 출범이 제일 중요했다.

양수석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은 "대덕연구단지 출신 본부장이라 더욱 반가운 소식"이라면서도 "연구자의 자질은 충분하지만 관료의 경험은 없는 것 같다. 예산권 확보 등 산적한 현안을 처리함으로써 능력을 보여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임 교수는 지난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의 싱크탱크인 `정책공간 국민성장포럼`의 과학기술분과에서 활동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