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무인기 융합산업 생태계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 드론 성능 시험을 제한하는 비행금지구역 해제가 관건이지만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사업인 만큼 산업 성장을 실효성 있게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21일 시 관계자에 따르면, 대덕구 문평동에 무인기 시험비행장 조성을 추진 중이다. 갑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북쪽 하천변 주차장 부지다. 시험비행장이 조성되면 무인기 제조업체들이 고흥이나 보은 등 시범사업 공역에 가서 시험을 진행해야 하는 등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와함께 올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무인기 제조기업을 스타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현재 공군의 테스트 수요를 확보했고 ㈜유콘시스템은 이에 적용할 수 있는 드론의 활용체계를 개발 중이다. 시는 1억2000만원에서 2억원의 시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시험비행장 조성까지 시는 올해 6억원을 투입한다. 2021년까지 총 27억원을 순차적으로 투입해 제품 개발과 성능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군과 소방 등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드론 활용 체계를 개발하고 전문서비스 모델로 민간 분야에 수요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대전 무인기 산업은 국내외에 기술력을 인정받는 기업과 전문가가 집중돼 있어 발전 가능성이 높다. 드론완성업체는 9곳이 입지해 전국 30% 정도 비중을 차지한다.

시 관계자는 "업체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인프라는 좋은 편"이라며 "나중에 산업이 성장하면 수직계열화가 생길 수 있는데 대기업을 유치하는 효과와 비슷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무인기는 하드웨어쪽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가 중요한 산업이다. 한번 선점하면 선도기업을 바꾸기 어렵다. 장기적으로는 시험검사기관 등을 유치해 드론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자는 게 시의 구상이다.

비행금지구역은 여전히 숙제다. 시험비행장 부지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2㎞ 거리다. 국토교통부는 밴드 반경 자체를 줄여줄 수 있지만 주변은 놔두고 특정 지역만 비행금지구역을 해제하는 건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비행금지구역 반경을 5㎞로 줄이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국방부 반대로 실패했다. 그러나 이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 정부가 육성하고자 하는 드론산업 자체가 발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향후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전국의 무인기 비행허가구역은 22곳으로 이중 7곳은 원래 비행금지구역이었지만 국토부가 허가를 내준 곳들이다. 인천비행장처럼 평면이 아니라 공간 개념으로 비행금지구역을 풀어내는 방법도 있다. 이곳은 보호시설 위로 버섯대와 같은 수직기둥 공간이 비행금지구역이면서 일정 반경은 높이 500m 이하에서 비행이 가능하다.

이용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