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은 선거구 획정 때마다 불이익을 받아왔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행정구역은 물론 생활권, 교통,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거구를 결정해야 함에도 상식에 어긋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정치력이 부족한 가운데 지역사회가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한 탓이다. 지역·인구 대표성을 제대로 반영해 대의민주주의를 구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라도 바로잡아야 마땅하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광역의원 선거구 증설이 관심이다. 도시 팽창에 따라 인구 증가가 가속화한 대전시 유성구는 지역 유권자 표의 등가성 확보를 위한 증설 요구가 거세다. 유성은 지난 20대 총선에 비해 인구가 약 3만 3300명 늘어나면서 유성 1선거구의 경우 광역의원 1명 당 인구수가 15만 명을 넘었다. 전국의 광역의원 1명 당 인구수가 7만 8000명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많다. 유성 광역의원은 국회의원 선거구 갑 지역에 1.5명, 을 지역에 2.5명이 각각 배정돼 있어 손질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천안시는 선거구 불일치 해소가 1차 과제다. 천안은 국회의원 선거구가 두 곳에서 세 곳으로 증가해 광역의원 선거구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시·도의원 선거구는 국회의원 선거구 관할 안에서 획정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르면 신설된 병 선거구는 도의원 선거구와 불일치한다. 또 국회의원 수가 늘어나 시·도의원 정수 증가 역시 순리다. 다만, 도내 다른 지역 광역의원 정수를 줄이는 등의 편법이 나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내일 첫 개최하는 회의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선거구 획정과 의원 정수 조정을 우선적으로 다룰 걸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개특위 논의 결과에 따라 대전시와 충남도 등도 기초의원 선거구 등의 조례 제정에 나서야 한다. 적잖은 공론화가 필요한 작업이다. 내년 지방선거는 개헌과도 맞물리는 만큼 시·도와 지방의회,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이 중심이 돼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지방의원에 대한 지역사회의 피로감이 없지 않다는 점까지 두루 감안해 최적의 타협점을 찾아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