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고 있는 국내 가계부채가 140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고 한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경제의 `시한폭탄`이나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가계부채는 1394조 원이다. 여기에 신용카드 사용금액까지 합치면 1400조 원에 근접했다는 것이다. 우려했던 가계부채 1400조 원 시대가 각종 통계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증가속도가 빠르고 경제규모 대비 비율도 유난히 높다. 지난해 국내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세계 주요 43개국 중 노르웨이, 중국에 이어 3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규모도 지난해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92.4%나 된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성장을 제약하는 임계치로 여기고 있는 85%를 훨씬 넘어선 위험상황이다.

한도를 넘어선 가계부채는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가계부채가 지금처럼 급증세를 지속한다면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 자명하다. 경제가 성장을 하기 위해선 가계 빚부터 줄여야 한다.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가 내달 초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기로 한 모양이다. 대출규제를 강화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GDP의 경상성장률 이내로 잡겠다는 게 주요 골자라고 한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2015년 10.9%에서 지난해는 무려 11.7%를 기록할 정도로 높다. 이에 비해 경상성장률은 2015년 5.3%, 지난해 4.7%다. 정부의 처방이 시급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동안 정부가 몇 차례의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았지만 결과는 신통치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매년 7-8%씩 늘어나던 부채는 2011년 내놓은 대책으로 증가세가 5%대로 잠시 주춤했다가 다시 10%대를 넘어섰다. 반짝 효과이후 되레 증가폭이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최근 2년간 증가액만 무려 259조 원이나 된다. 당국의 잇단 대책에도 불구하고 눈덩이처럼 불어나 경제의 발목을 잡기에 이르렀다. 이번에야말로 제대로 된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