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 파장이 전국적으로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검사를 실시하는 기관 간 정보공유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기관-자치단체는 현재 산란계 농가와 유통된 달걀 등에 대해 각각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각 기관별 맡고 있는 업무 영역과 책임 소재가 모두 다르다는 이유로 소통에 난항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현재 충남지역은 조사 대상 산란계 농가 128곳에 대해 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충남도 동물위생시험소가 절반을 나눠 각각 64농가씩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의 경우 도 소속 기관인 만큼 검사 결과를 도가 직접 파악·관리하고 있지만, 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속 기관인 탓에 도에 결과를 통보할 필요가 없다.

상급 기관인 농림축산식품부에 1차적으로 검사 결과가 보고돼야 하기 때문에 타 기관과의 원활한 정보 공유가 이뤄지기 어려운 것이다.

지난 14일은 경기도 남양주시, 16일에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음에도 농식품부의 발표 전까지 각 자치단체가 해당 내용에 대해 제대로 통보받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과정에서 실시된 검사 결과를 공식 발표 전까지 다른 기관이 알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산란계 농가를 벗어난 이후 마트 등으로 유통된 달걀에 대한 검사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담당하고 있는데, 정부의 창구 단일화 방침으로 기관 간 정보 공유마저 최소화 된 탓이다.

결국 자치단체가 검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곳은 달걀 산지인 산란계 농가, 그 중에서도 일부에만 한정돼 있기 때문에 검사·사후조치 등의 업무가 모두 `제각각`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도는 농식품부 측에 빠른 정보공유를 요청해 상황이 다소 나아지고는 있지만, 보다 원활한 소통과 정보공유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검사를 담당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오히려 기관 간 유기적인 업무가 더욱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도 관계자는 "품질관리원의 검사 결과는 농식품부 보고를 거쳐야만 하는 탓에 도가 알아내는 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검사 결과가 공유돼야 빠른 대응이 가능한데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업무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16일까지만 해도 식약처에 검사 결과를 알려달라고 해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 그나마 지금은 상황이 나아졌지만 검사 결과 정도는 관할 자치단체에 빠르게 통보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희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희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