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이 됐다. 최근의 여러 여론조사를 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70-80%대로 고공행진 중이다. 한반도의 안보 불안감이 커졌고,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사퇴 같은 인사 난맥상 속에서도 국민들이 긍정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취임 초반 100일은 임기 5년 동안의 국정 틀을 짜는 시기인 데 문 대통령은 정상적인 인수위원회를 가동하지 못했다. 그런 어려움을 딛고 선방한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문 대통령은 취임하기 무섭게 속도전을 펴왔다. 100일 플랜에 따라 동시다발적으로 개혁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었다. 일자리위원회를 신설해 일자리 창출에 다 걸기 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국정 운영에 들어갔다. 최저임금 1만 원 시대와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신고리 5·6호기 가동중지 공론화, 문재인 케어 등이 대표적이다. 부동산 대책도 일단은 효과를 냈다. 취임 100일째인 어제는 아동수당 신설과 기초연금 인상안을 내놓고, 세월호 유가족을 만났다.

우려와 비판도 없지 않다. 야권은 탈(脫)원전과 의료보장성 강화를 위한 문재인 케어를 포퓰리즘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가 재정을 감안할 때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이명박 정부의 4대 강 사업에 대한 정책감사는 전 정권 손보기라는 비판을 낳았다. 과제도 많다. 당장 안보 위기 해소가 발등에 불이다.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코리아 패싱`(한국 지나치기), `문재인 패싱`을 불식할 수 없다. 검찰·국방 개혁 등 가야할 길이 먼 만큼 시스템에 의한 국정 운영을 모색할 시기다.

시스템의 경보음은 이미 울린 바 있다. 인사 쏠림도 문제였지만 고위직 인사에서 낙마 사태가 잇따르면서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부동산 대책이라고 다르지 않다. 청와대가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앞으로 국무총리·장관 등 내각이 전면에서 일하도록 시스템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여소야대를 극복해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야권과의 협치 틀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