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대전 서구의 한 빌딩에서 발견된 38구경 권총 실탄과 수갑 9개, 최루탄 3개. 사진=대전지방경찰청 제공
지난 9일 대전 서구의 한 빌딩에서 발견된 38구경 권총 실탄과 수갑 9개, 최루탄 3개. 사진=대전지방경찰청 제공
9일 밤 대전 서구의 한 빌딩에서 발견된 실탄과 수갑, 최루탄 등이 과거 경찰에서 유출된 것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10일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5시 57분쯤 대전 서구의 한 빌딩에서 38구경 권총 실탄 56발과 수갑 9개, 최루탄 3개, 가스분사기 1점이 발견됐다. 현장에는 이미 숨진 의무경찰 출신 A(39)씨의 운전면허시험 응시표도 함께 발견됐다.

총기전문가들은 38구경 실탄은 일반 내수용으로 판매되지 않고, 사법권을 가진 경찰 또는 군 장교 이상급에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또 발견된 수갑은 과거에 경찰이 사용한 일련번호가 없는 것으로, 경찰은 지난 2000년 고유일련번호가 새겨진 수갑으로 교체해 사용중이다.

이와 함께 발견된 최루탄도 경찰이 사용한 최루탄으로 알려지면서 이 물건들이 과거 경찰에서 유출됐다는 추정에 힘을 더하고 있다.

과거 의무경찰로 근무한 김모(43)씨도 "제대할 때 기념으로 실탄을 들고 나오는 것은 수월했다. 수갑도 한두 개씩 갖고 나오기도 했다"며 "다만 수십 발의 실탄을 가져나오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와 같이 유출된 실탄이나 수갑·최루탄 등의 규모가 파악이 안 된다는 점이다.

지금은 △일선 지구대 비치 △상황 발생시 형사에게 지급 △사격연습 등에 사용하며 탄피 수까지 확인하며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지만, 관리가 허술했던 시절 유출된 실탄·탄피는 어떤 식으로 악용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에서 사기총기 제조법 등을 쉽게 접하고 불법 총기류를 제조하다 적발한 사례도 있는 만큼 인명사고나 살상에 사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가스분사기의 시리얼 번호 앞 세 자리가 지워져 있고, 실탄은 일련번호를 확인한 결과 지난 1998년에 제조된 것으로 보인다"며 "A씨가 제대하면서 이 물건들을 들고 나와 보관하고 있다가 발견된 것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격 연습을 통한 실탄 유출사고가 잇따르면서 지난 2015년부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탄약·탄피 회수 실명제를 도입하고 있다"며 "지금의 시스템 아래에서 탄피를 바깥으로 빼돌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발견된 물건과 현장에 있던 운전면허시험 응시표의 주인인 A씨와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중에 있다. 또 가스분사기에 새겨진 일련번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희미해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를 요청했고, 실탄박스는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중에 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