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차 산업혁명과 연관된 공유경제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급자간의 공유거래가 실시간(On-demand)에 직접(P2P)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공유 경제는 크게 5개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금융, 숙박, 교통, 노동, 재능 공유가 있다. 그 중 교통 분야에서는 무엇을 나눠 쓰고 있는가? 해외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의 경우에도 자동차, 자전거, 택시, 오토바이, 주차장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공유되고 있다. 학교 앞 버스정류장까지 가는 길목만을 상상해보면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쏘카`, 보관대에 설치되어 있는 `타슈` 등 쉽게 접하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교통에서 공유에 대한 인식과 쉽게 접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교통에서는 공유를 기반으로 대중교통이나 택시와 같은 공공 교통수단은 말할 것도 없고, 개인 승용차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사회가 공적으로 건설·운영하는 공공 도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교통 부문에서 공유경제형 서비스의 논의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개인 승용차의 과다한 보유 및 이용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공유경제형 교통서비스는 창출을 통해 침체된 교통 산업을 되살릴 가능성이 있으며 승용차 중심 도시공간구조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의 과소공급 문제와 개인승용차 과다 공급 문제를 하나로 연결해 문제를 풀어내는 방안 중 하나가 공유경제형 교통서비스의 활성화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공유경제형 서비스 특징은 공급자 입장에서는 개인이 보유한 잉여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한시적으로 판매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수요자 입장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금액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데 있다. 대전시 주차 문제와 주·정차 공간 부족으로 도로나 보도 침범으로 소통을 방해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이에 대해 공유교통 서비스를 도입시키면 건물소유주(공급자)의 주차공간 비는 시간을 이용해 원하는 수요자가 그 공간을 비교적 저렴한 금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카셰어링 또한 마찬가지이다.

물론 서비스의 안정성, 신뢰성, 안전성 확보 등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지만 4차 산업과 연관된 IT 기술과 사회관계망 형성을 통한 신뢰성 검증 절차 등의 보완 방법을 활용하면 현재보다 더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서비스 전환이 가능할 것이다. 공유경제 기반 교통 서비스는 향후 개인승용차 이용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모든 유형의 공유경제 교통서비스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공유경제형 서비스는 우선 교통서비스 사각지대를 줄이는 등 공공 이익을 증진시키는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현대인은 통행 시 주로 자신이 보유한 자가용이나 택시 또는 대중교통과 같은 공공교통 서비스를 이용한다. 공유경제형 교통서비스는 두 가지 유형의 통행 패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다. 4차 산업혁명인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되면 공유교통 서비스가 개인승용차나 대중교통 영역을 허물고 주요 교통수단이 될 소지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공유경제형 교통서비스의 경우 여유자원 활용을 바탕으로 하는 만큼 사회적 자원의 투입 없이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적극적인 도입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4차 산업혁명 변화에 대비한 미래 교통 트렌드는 차량보다 보행자 등 교통약자 중심으로 대중교통이나 카셰어링 등 공유교통으로 효율성보다는 지속가능성 위주로, 대중교통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교통정책을 펼쳐서 시민이 행복한 지속가능한 교통도시가 될 것이다. 앞으로 대전시 공유교통정책 수립에 서로 다른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과 공유교통정책을 검토해 효과적인 공유교통 활성화가이 진행되기를 바란다. 김명수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대한교통학회 부회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