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보통 커피생산국을 생각하면 아라비카 종의 원산지인 에티오피아가 있는 아프리카 지역과 세계 1위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브라질이 있는 아메리카 지역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속해있는 아시아 지역에서도 각 생산국의 개성을 드러내고 있는 다양한 커피들이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커피 생산량이 브라질에 이어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아시아 지역이 커피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의 대표 커피 생산국인 인도네시아는 카네포라(로부스타) 품종을 많이 생산하고 있지만 수마트라, 술라웨시, 발리, 자바 등에서 아라비카 종이 계속 재배가 되고 있으며 생산지역별로 독특한 풍미를 지닌 채 생산 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커피 중 우리에게 잘 알려진 만델링(지역명이 아닌 부족명) 커피는 일반적인 커피 가공방법과 조금 다릅니다. 수확한 커피체리의 과육을 벗겨내고 하루 정도를 건조한 후 파치먼트(커피체리의 속껍질) 상태로 커피 수매상에게 판매를 합니다. 그리고 커피 수매상은 파치먼트를 탈각한 후 생두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생두 상태가 깔끔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결점두가 상당히 많은 걸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독특한 풍미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가공법은 비가 많은 지역의 특성상 조금이라도 건조를 빨리 하기 위해서 고안된 방법이라고 합니다.

인도네시아 커피의 로스팅은 너무 강하게 로스팅 될 경우 부담스러울 정도로 맛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너무 강한 볶음 단계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발리 킨타마니 지역과 플로레스 섬에서 나는 커피의 경우 강한 볶음 보다는 중간 또는 약하게 볶은 로스팅 단계에서 커피의 독특한 풍미가 잘 살아납니다.

파푸아뉴기니의 경우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고 생산량도 그리 많지는 않지만 상당히 좋은 커피가 생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메이카에서 이식받은 피티카종이 생산이 되고 있어서 가공과 품질관리가 잘 된 커피의 경우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만큼이나 좋은 밸런스를 지닌 커피로 만들어 집니다. 이 때문에 파푸아뉴기니에서 생산되는 순수한 티피카종을 잘 가공해 파푸아뉴기니 블루마운틴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하기도 합니다.

파푸아뉴기니 커피는 대부분 위시드로 가공이 되며, 로스팅 단계는 약한 볶음과 중간 볶음이 가장 잘 어울리고 단맛을 잘 끌어낸 로스팅의 경우 달콤한 캐러멜향과 고소한 견과류의 향이 강하게 살아있는 좋은 커피로 탄생 될 수 있습니다. 문상윤 대전보건대 외래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