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낮은 금리에 많은 대출은 받은 가계는 당혹스럽다. 대부분 변동금리를 채택하고 있던 만큼 부담이 커져 소비위축까지 우려된다.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가계 부채는 어떻게 해야 할까. 투자를 한다면 어느 쪽으로 해야 할까.

지역의 금융권 담당자들의 종합적의 의견은 이렇다.

일단은 가계부채를 줄여야 한다.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부채로 인한 이자부담이 커진다. 1억 원을 대출받았을 때 대출금리가 0.5%포인트만 올라도 50만 원의 이자부담이 생긴다. 여기에 원금까지 갚아 나간다면 금리 인상은 서민 가계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김정만 농협 대전영업본부 마케팅추진단 과장은 "그동안 금리가 낮아 대출을 받아 부동산·주식 등 다른 곳에 운용하는 사람이 많았다"며 "금리가 오른다면 부채부터 줄일 필요가 있다. 대출이 있다면 최대한 상환해 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가 3% 초반대라면, 고정금리는 4-5%이다. 금리가 인상된다고 하더라도 고정금리를 벗어나 금리가 인상될 전망은 낮다.

지역 금융권 또 다른 관계자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은 만큼 갈아타는 것은 유리하지 않다. 큰 금융위기가 오지 않는 한 대출 금리가 크게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기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차를 감수하고 굳이 고정금리로 갈아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채권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미국 국채 금리의 상승으로 국내 국고채 금리도 상승하고 있다. 채권 금리의 상승은 채권 가격의 하락을 의미한다. 투자 전략으로 단기형 채권을 늘리고 중장기적 채권의 투자는 지양할 필요가 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들은 공통적으로 주식의 투자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말까지는 국내 주식도 나쁘지 않지만, 소규모 투자일 경우 해외 비과세 펀드로 눈을 돌리는 것이 좋고, 글로벌 시장에 투자를 장려했다. 해외 비과세 펀드는 해외 상장주식에 자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으로, 1인당 3000만 원 한도 내에서 매매·평가이익에 붙는 15.4%의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기 때문이다.

KEB 하나은행 천안두정금융센터지점 손은경 팀장은 "국내 주식에 투자를 하고자 한다면 배당주나 IT, 우량주 펀드로 투자를 하는 것이 좋다"며 "연말까지 해외 비과세 펀드로 혜택을 볼 수 있는 만큼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것도 추천한다"고 말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