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칼럼] 쑤시거나 화끈하면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발병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노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는 20대의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나이를 먹는다고 누구나 똑같이 관절이 퇴행하는 것도 아니다. 나이가 들수록 퇴행성관절염이 더 잘 걸리고 심각하지만 좋은 환경에서 적당한 운동과 식생활습관을 통해 관절염을 예방할 수도, 나아가서는 관절염을 치료할 수도 있다.

장마철이 되면 외부 기압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관절 내 기압이 팽창, 관절 내 조직들의 활동이 왕성해져 관절의 통증이 더 심해지기 마련이다. 관절 내부에 염증이 있거나 조각난 관절연골들이 떠다니면서 주변 조직을 자극해 통증이 악화된다. 맑은 날보다 낮은 기온으로 인해 근육이 수축되고 관절이 뻑뻑해지는 것도 통증이 심해지는 원인이 된다.

관절염을 일으키는 원인 질환은 약 100여 가지가 있으며 크게 비염증성 관절염과 염증성 관절염으로 나눌 수 있고, 이 중 퇴행성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관절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관절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아픈 관절이 뻑뻑한 증세가 동반되기도 하는데 관절통을 호소한다고 해 모든 경우가 관절에 염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관절연골에는 동통을 느끼는 신경이 없으므로 뼈나 관절을 싸고 있는 활액막에서 발생하나 관절주위의 점액낭, 인대, 근육 등의 염증에서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장마철에 관절통의 증상이 `뻣뻣하다`거나 `시리다`고 느껴진다면 퇴행성관절염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쑤신다`거나 `화끈거린다`고 표현할 수 있다면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에 가깝다. 평소 이러한 질환을 갖고 있던 사람은 장마철에 증상이 더 심해지기 일쑤다. 퇴행성관절염에서는 운동이나 활동과 연관돼 통증이 발생하며 휴식시 통증이 감소되며, 통증의 부위가 국소적인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염증성 관절염을 대표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는 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활액막에 염증이 발생해 통증과 관절강직을 유발하고, 부종과 관절의 전반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이는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현저하여 조조강직이라고 한다. 또한 전신적인 질환이므로 관절에 염증이 심한 사람들은 때때로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감기에 걸린 것과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퇴행성관절염의 치료 목표는 통증을 경감시키고 운동성을 유지하며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방침은 환자 개개인에 따라 맞춰져야 한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하지 않고 증세가 경한 경우에는 약물치료로도 조절될 수 있다. 무릎이나 고관절에 퇴행성관절염이 있는 환자는 장시간 서 있거나 무릎을 꿇거나 쭈그리고 앉아 있는 것을 피해야 한다. 또한 퇴행성관절염이 있는 관절에 열을 가해 통증과 강직을 감소시켜야 하며, 걷기나 자전거 타기를 매일 30분 내외로 꾸준히 함으로써 관절주위 근육들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치료에 실패한 퇴행성관절염 환자나 중증에서는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만성 질환의 범위에 속하는 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약물이나 물리 치료, 수술 등 병원에서 이뤄지는 치료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생활 습관이다. 앉을 때는 등과 목을 바로 펴고 두 발을 모두 땅에 제대로 디뎌 올바르게 앉도록 하고, 한 자세로 너무 오래 있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무리한 운동은 삼가고 매일매일 단 10분씩이라도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관절염이 심해 움직이기조차 힘들 때에도 관절을 정상 운동 범위 내에서 움직여 주는 것이 관절이 굳고 근육이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김광균 건양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