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30일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총파업으로 지역 일부 학교의 급식기능이 마비됐다. 학생 일부는 자발적으로 도시락을 싸오기도 했으며,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입맛을 고려해 빵과 김밥, 주먹밥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파업 첫날인 29일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는 조리종사원 9명이 총파업에 동참하면서 급식 수급에 차질이 빚어졌다. 이 곳에 근무하는 총 14명 중 절반 이상이 파업에 동참한 것이다.

점심시간 학생들은 하나같이 집에서 싸온 도시락을 책상에 올렸다. 학생들은 이날 부모가 아침에 마련한 도시락으로 점심을 해결해야 했다. 심지어 맞벌이 학부모의 자녀들도 도시락을 챙겨왔다.

맞벌이를 하는 최모(43·여) 씨는 "친구들이 다 도시락을 싸온다는 데 우리 아이만 빵과 우유를 먹일 수 없지 않냐"라며 "아이 도시락을 챙겨주기 위해 회사에 양해를 구하고 좀 늦게 출근했다. 급식 노동자들의 입장을 이해한다. 하지만 파업으로 제일 피해를 보는 아이들과 엄마들의 맘도 알아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총파업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과 일선 교육청과의 임금 협상이 결렬된 데 기인한다. 이들은 최저임금 1만 원, 비정규직 철폐, 노조 할 권리 실현 등 3대 사회적 요구의 관철을 명분으로 내세워 이름도 `사회적 총파업`이라고 붙였다.

첫날인 29일에는 지역 초·중·고 영양사, 조리사 등 419명이 파업에 동참하면서 지역 88개교의 급식이 중단됐다. 다행히도 둘째날인 30일에는 전날보다 파업 참가 인원이 크게 줄어(조리원 92명) 10개 학교에서만 급식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적으로는 첫날 전국 초·중·고 3300여 곳에서 파업이 진행돼 급식을 둘러싼 해프닝이 여기저기에서 벌어졌다. 다음날에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총파업에 참여한 근로자들이 대규모 집회를 열기도 했다.

물론 파업은 법률로 보장된 노동의 기본권이다. 절차와 규정을 통해 진행했기 때문에 문제삼고 싶지 않다. 하지만 이번 파업으로 학생들이 큰 피해를 봤다는 점에서 우리는 `책임`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이번 사태로 최종적인 피해자는 아이들이라는 데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의 원인을 다시 한 번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