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을 향해 비핵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어제 서울에서 열린 6·25전쟁 기념식에서 "북한은 핵과 미사일 고도화를 멈춰야 한다. 한반도 비핵화의 길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충남 태안의 국방과학연구소(ADD) 종합시험장에서 진행된 현무2(탄도미사일) 발사 현장을 직접 찾아 참관했다. 예정에 없던 방문으로 북의 잇단 도발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이란 관측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화도 강한 국방력이 있을 때 가능하며 포용정책도 우리가 북한을 압도할 안보 능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6·25 67주년과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가운데 대화 보다 안보에 방점을 둔 행보라는 점이 주목된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은 일일이 열거하기 어렵다. 최근 한미정상회담 목전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마지막 단계로 추정되는 로켓 엔진의 지상분출시험을 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그 것도 북한에 억류됐다가 미국으로 돌아온 뒤 사망한 웜비어 사건으로 국제사회가 격앙돼 있는 민감한 시기에 도발을 감행했다. 정상회담이 임박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을 정조준해 ICBM 기술 완성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을 과시하려는 듯한 인상이 짙다. 북 정권 수립일인 9·9절에 신형 ICBM을 발사하리란 전망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이런 위험하고 혼란스런 현실에서 우리 측이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대북 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려가 크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은 문 대통령이 사드 체계의 배치와 관련, 문제점을 또 다시 제기하자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고 있다. 주말엔 주한 미대사관 앞에서 대규모 사드 반대시위가 벌어졌다. 사드를 둘러싼 일련의 논란이 우리 안보와 외교를 위해 어떤 도움이 되는 건 지 돌아볼 일이다. 백악관은 "(북 도발에 대해) 어떤 옵션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 자칫 한미간 엇박자 개연성도 없지 않다. 신뢰로 동맹을 재확인하되 북핵 해법 찾기에 초점을 맞춰 정교한 전략을 마련하길 주문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