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운영되는 야학(夜學·야간학교)들이 지역 사회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움의 장소가 마땅히 없어 발을 동동 구르는 단체가 허다한 가운데, 장기간에 걸친 경기 침체까지 이어지면서 각종 후원금도 줄어 `엎친데 덮친`격의 심각한 운영난을 겪고 있다.

5일 지역 교육계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에는 총 6개 이상의 야학이 운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력을 인정받는 예지중·고를 비롯해 충청성인학교, 한국성은학교(폐교 예정), 모두사랑장애인야간학교(모두사랑 야학), 제일홍익학교, 정명학교 등 5곳은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미인가 시설로 분류된다.

이 중 모두사랑 야학이 최근 교육장을 구하지 못해 큰 고민에 빠졌다. 당장 이달 말까지 교육장을 구하지 못하면 야학 소속 학생 65명의 배움을 뜻을 이어갈 수 없게 될 처지에 놓인 것이다.

모두사랑 야학은 지난해 말 서구 탄방동에 위치한 국민연금관리공단 대전지사의 사옥을 임대하려 했지만 국민연금 측이 편의시설 미비 등의 사유로 임대를 거부하고 있다. 이에 모두사랑 야학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소를 한 상태다. 모두사랑 야학 측은 장애인을 차별해 국민연금 측이 임대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진정서를 인권위에 제출했다. 현재 이 사안에 대한 심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인권위는 조만간 `기각`과 `권고` 등의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오용균 모두사랑 야학 교장은 "인권위에서 권고 결정을 한다면 앞으로 교육장을 사용할 수 있게 돼 그나마 다행이지만, 기각되면 갈 곳이 없어 큰 일이다"며 "엄연한 학교 형태의 장애인평생교육시설로 정당한 임대료를 지불하고 입주하려고 하는데도 국민연금 측이 노유자 시설고 인정해 거부하고 있다는 점은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앞서 2014년에도 야학을 둘러싼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한마음 야학이 그 중심에 선다.

늦깍이 학생들의 배움터를 잃을 위기에 처해 수개월 간 논란이 지속됐지만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합심하며 문제를 해결해냈다. 1989년 문을 연 한마음 야학은 60-70대 만학도 100여 명이 7개 반에서 초·중등 교육을 받고 있으며 학생 규모 면에서는 대전에서 가장 큰 야학으로 꼽힌다. 한마음 야학은 수업료와 활동비 등이 전액 무료이고, 일반 학교와 똑같은 수업방식으로 운영되며 그동안 수백명에 달하는 만학도가 배움의 즐거움을 만끽했다.

이강혁 한마음 야학 교감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평생교육 시설이 생기며 야학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 건 사실"이라며 "모든 야학에게 지원되는 정부, 지자체 지원금도 얼마 되지 않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