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내라 청춘] 中 청년복지

천안에서 대학을 졸업한 박경주(29)씨는 창업 했다가 지금은 직장에 다닌다. 천안의 일터에서 받는 급여는 한달 200여만 원. 천안시 두정동 원룸에서 살며 주거비로 매달 30만 원을 지출한다. 거기에 학자금 대출 상환으로 30만 원을 납부하고 통신료 등 각종 비용과 공과금을 제하면 한달 자취 생활비가 빠듯하다. 바리스타 경력 5년차의 1인 가구 은수정씨(여·35·천안시 신부동 거주).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는 은씨도 주거비(월세)가 매달 전체 지출의 35%를 차지해 자기계발을 위한 투자는 엄두를 내지 못한다.

사회가 청년에 관심 가져야 한다 목소리 높지만 청년들 부담은 경감되지 않고 있다. 취업에 성공해 일자리를 가진 청년도 마찬가지이다. 취약한 청년복지 탓에 많은 청년들이 미래를 저당 잡힌 채 신음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지자체 청년사업 대부분이 일자리나 창업지원에 초점 맞춰진 점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아산시에 따르면 올해 추진중인 청년사업은 6개 과, 28개가 있다. 경제부서가 7개 사업으로 가장 많지만 지역우수인재 고용촉진, 대학취업캠프, 창업보육센터지원 등 일자리와 창업 일색이다. 여성가족과도 6개 사업이 있지만 아이돌봄, 직장어린이집 설치, 건강가정육성 등 무늬만 청년일 뿐 실상은 여성·아동에 가깝다.

천안시도 일자리나 창업지원 말고 청년복지 사업은 드물다. 아산시는 청년층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이자를 올해부터 시비로 편성해 지원하지만 천안시는 기약이 없다. 아산시는 청년일자리창출 지원 조례는 물론 청년의 주거 및 생활안정 등을 목적으로 청년기본조례도 제정했다. 반면 천안시는 청년기본조례 없이 청년일자리창출 지원 조례 뿐이다.

청년사업이 일자리에 치우칠 수 밖에 없는 구조에서 청년 당사자들은 고충을 토로했다. 은수정씨는 "타 지역에 비해 천안의 청년 인구 비율이 높다고 하지만 청년이 많이 사는 곳은 물가도 비싸 청년들이 주거비 등 이중고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그나마 있는 청년복지 사업도 한정적이다. 대학생들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천안시는 옛 동남구청사 부지에 163억 원을 들여 수용인원 600명 규모의 천안행복연합기숙사를 2020년까지 짓는다. 행복연합기숙사는 사학진흥기금이 투입돼 대학생들만 입주한다. 대학생 아닌 청년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청년복지 사업으로 `행복주택` 공급이 있지만 지난달 천안의 첫 행복주택인 백석지구 청약 접수 마감 결과 사회초년생은 34.54대1 경쟁률로 바늘구멍을 방불케 했다.

`충남도 청년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를 담당했던 공동체 세움의 김종수 상임이사는 "지자체 청년사업이 일자리와 창업에 편중됐다"며 "청년들이 머무르고 정착하도록 빈 건물 등을 임대해 값싸게 장기간 청년공유주택으로 공급하고, 건물주에게 리모델링비를 지원하는 청년복지 사업도 도입해 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윤평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