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에이지

휴먼에이지
휴먼에이지
인간은 지구를 망치기만 하는 골칫덩이일까. 인류의 시대는 어리석은 결말로 치닫고 있을 뿐일까.

우리가 주무르고 휘저은 지구는 이제 끝장나는 걸까. 저자는 이 같은 고민에서 이 책을 썼다.

이 책의 제목 `휴먼 에이지`는 지질시대 개념인 인류세(Althropocene)를 일상 용어로 풀어낸 말이다. 인류세라는 단어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여기에 얽힌 일화가 있다.

2000년 멕시코에서 열린 지구환경 관련 국제회의 현장에서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를 밝힌 연구로 1995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기후과학자 파울 크뤼천이 "우리는 이미 인류세를 살고 있다"고 말하면서 개념화됐다.

인류세는 말 그대로 인간의 시대다. 당시 크뤼천의 발언으로 홀로세(현세)가 아닌 우리가 이전까지 어렴풋하게만 의식했던 현상을 지칭할 표현이 됐다는 점에서, 나아가 그럼으로써 그 현상을 새롭고 더 깊이있는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탁월한 용어다. 우리는 인류세라는 용어 덕분에 인류가 지구 역사에서 새로운 단계를 열었다는 사실을 충격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됐고, 좀 더 넓은 시공간적인 관점에서 문명과 지구환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에 온갖 재주를 부리는 시대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인간이 지구 온난화를 동반한 기후변화, 도시화, 여섯 번째 대멸종을 일으키고 있는 생태계 파괴, 지구적 무역으로 인한 지구적 서식지 교란, 에너지 고갈 등을 불러 일으킨 현상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지질학적 인식에서 출발한다.

제1부와 2부에서 저자는 어째서 우리가 인간의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인지, 이 시대의 특징은 무엇인지 흥미롭게 설명해 나간다. 그러면서 왜 우리가 스스로를 인간의 시대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해야 하는지 환기한다.

저자는 비관적인 미래학자들의 전망과는 다른 짐짓 새로운 목소리와 청사진을 내놓는다. 인간은 자신의 파괴력과 무지막지함을 자각하고 자연의 분노를 뼈아프게 인지했다는 것, 과학기술과 자연본성을 길잡아 삼아 다른 미래를 만들어나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또 우리가 이대로 모든 것을 망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며 이미 수습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생각을 어느 쪽으로 깨뜨리냐에 따라서 우리는 다른 미래를 만들 수 있다. 한 가지 다행인 것은 우리의 창조력과 재주 또한 뛰어나다는 것이다.

저자는 지구를 구하고 다른 미래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분투하는 사람들과 현장을 찾아나선다.

제1부에서 3부까지 인간의 손을 탄 자연과 자연의 분노를 녹이는 인간의 노력에 집중했다면 제4부와 5부에서는 로봇공학, 나노 기술, 3D프린팅, 후성유전학, 미생물학 등 오늘날 각광받는 여러 과학기술이 지구와 인류에 미칠 영향에 집중한다. 강은선 기자

다이앤 애커먼/ 김명남 옮김/ 문학동네/ 468쪽/ 1만8800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