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을 강타했던 조류인플루엔자(AI)가 진정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올해 천안지역 전체 가금류 사육수의 절반 이상이 AI로 떼죽음을 당하면서 사상 최악의 피해를 입은 만큼 전문가들은 올해 또한 철저한 대비를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26일 충남도, 천안시 등에 따르면 천안시는 지난해 11월 24일 AI가 최초 발생한 이후 지난 1월 4일까지 AI가 발생해 가금류 475만여마리가 살처분됐다. 천안지역 전체 가금류 사육수가 760여만마리라는 것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62.4%)이 피해를 입은 셈이다. 충남지역은 지난 4일 논산에서 발생한 AI확진 이후 진정세를 나타내면서 지난 19일 기점으로 위기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했다. 도는 다음달 11일까지 진정세가 이어질 경우 논산, 공주 등 방역대를 해제하고 AI종식을 선언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AI악몽을 타산지석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정부의 투명한 자료공개, 방안마련은 물론 지자체 축산 담당자들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윤철 연암대 교수(대학방역단장)은 "AI피해는 감염력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매년 신종 바이러스가 생겨나면서 백신만으로는 방어체계를 확립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살처분, 이동제한 등 물리적인 조치보다 실험적 연구를 통해 농가별로 바이러스에 대한 자세한 자료를 공개해 보다 근본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재홍 (사)대한양계협회 부장은 "정부에서 내놓은 AI긴급행동지침이 있지만 지자체는 담당 인력이 워낙 적고 순환보직인 만큼 전문성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 천안시가 대표적"이라며 "정부-지자체 간 긴밀한 연결고리를 구축하고 실무인력인 지자체 담당자를 확대해 보다 신속한 대처가 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세밀한 지역상황 검토도 수반돼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천안을·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지금까지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간략화된 채 시행된 측면이 많아 개선 방안에 대한 중간점검, 성과평가 등이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방제가 아닌 유비무환 형태의 예찰이 선진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지자체, 생산자단체 등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대책개선이 우선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