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통령선거가 2주도 채 남지 않았다. 대통령 후보자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들이 수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108조 1항은 "누구든지 선거일 전 6일부터 투표마감 시각까지 선거에 관하여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하여 보도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앞으로 1주일 내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다양한 공방과 해석이 난무할 것이다.

이번 대통령선거는 지역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세대투표가 될 것이다. 물론 보수와 진보 사이 이념도 주요 변수이지만, 이념문제는 세대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젊은 층일수록 진보적이고, 나이가 들수록 보수적인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발표된 수많은 여론조사 결과는 2030 대 5060으로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의 지지층이 구분된다는 것이며, 40대의 선택이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이다.

나는 40대 표심의 향방이 아니라 45세에서 55세 연령집단의 선택이 결정요인일 것으로 예상한다. 20대와 30대는 60대와 70대와 마찬가지로 뚜렷한 방향성을 지닌다. 반면 40대와 50대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동일한 연령집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세대는 두 가지 점에서 논의된다. 하나는 생애 단계로서 `연령집단`(age group)으로 20대, 30대, 40대, 50대 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동기집단`(cohort group)으로 특정 역사경험을 공유하는 세대다. 청년문화 세대, 민중문화 세대, 신세대 등이 동기집단에 해당된다. 이 관점에서 보면, 동기집단의 경험은 연령집단의 경험보다 중요하다.

50대는 단일한 `연령집단`이지만, 동일한 `동기집단`은 아니다. 50대의 동기효과는 대략 55세를 기준으로 나누어진다. 55세 전후는 1980년대 초 대학에 입학한 사람들이다. 제5공화국이 출범하고, 대학입시 제도가 바뀌었던 1981년이 중요한 기점이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주체였던 민중문화 세대는 같은 민주화 세대였던 1970년대 학번들과는 다른 정서를 갖고 있다. 같은 50대지만 만 55세 전후로 연령집단의 성격은 다르다. 50대 중·후반의 보수적 경향은 60대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50대 초·중반의 정치성향은 60대의 정치성향과 다르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시 35세~40세 유권자의 노무현 지지율은 위 연령집단보다 굳건했다. 이들의 정치성향은 2012년 선거에서도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10년이 지났지만 이들은 문재인 55.6%, 박근혜 44.1%의 지지로 진보 후보를 약간 더 선호했다. 이 같은 경향은 과거 40대 투표 성향이 진보후보보다 보수후보를 약간 더 선호했던 것과는 다른 것이다. 대체로 50대가 되면 보수화 경향이 뚜렷하지만, 현재 50대 초·중반에게는 50대 중·후반에게 나타나는 보수화 경향이 뚜렷하지 않다.

40대의 경우도 45세 전후로 세대경험이 다르다. 40대 중·후반은 50대 초·중반의 성향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지만, 40대 초·중반은 그렇지 않다. 40대 초·중반은 서태지로 대표되는 1992년 신세대 문화의 주체들이다. 반면 40대 중·후반은 신세대 문화를 즐겼지만 동시에 민주화의 흐름 안에 놓여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관전 포인트는 여론조사 결과가 보여주는 40대 표심의 방향이 아니라, 45세에서 55세 연령집단의 선택이 어느 곳을 향하는가이다. 45세에서 55세 연령집단의 선택이 나이가 들면서 보수화되는 연령효과를 따를 것인가 아니면 자신들의 역사적 경험 속에서 형성된 동기효과를 유지할 것인가가 관심거리다.

물론 지난해 10월부터 진행해온 탄핵정국의 여파로 45세에서 55세 연령집단은 명백한 보수를 주저하면서 중도나 진보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과연 이들의 55% 이상이 중도를 선택할지 아니면 진보를 선택할지가 궁금하다. 만약 중도를 선택한다면 보수화 경향의 흐름으로 연령효과가 주요 요인이 될 것이고, 진보를 선택한다면 여전히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동기효과가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주창윤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