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실제 시행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던 교육당국이 일선 학교에서 각종 부작용이 감지되면서 올 연말 평가를 통해 대대적인 손질에 나서기로 했다.

최근 신규 운영학교로 지정된 대전지역 일부 학교에서 여학생들의 인권논란은 물론 이동수업에 따른 학생들의 불편사항이 지적됐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부가 교과교실제 시행 이후 7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 제도에 대한 자체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스스로 문제를 키웠다는 비난은 피할 수 없게 됐다.

25일 교육부와 대전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교과교실제를 시행하는 전국의 779개교를 대상으로 올 연말까지 성과점검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교과교실제 시행 학교의 학생과 교사들에 대한 설문 등을 통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자료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제도의 장점도 많지만 최근 각종 문제점들이 지적됐다. 특히 시행 7년을 맞은 교과교실제에 대한 성과점검이 필요해 보인다"라며 "이는 올해 처음 도입했고, 이러한 결과는 신규 학교 지정에 대한 문제점과 각종 제도 개선방안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서 도출된 운영성과 결과물을 통해 향후 교과교실제의 방향성과 일선 학교의 계속진행 여부 등에 대한 기본 가이드를 만들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제는 그동안 제도 시행에 따른 점검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일선 학교 교사들은 교육부가 수년간 교과교실제를 시행하면서 학생들의 불편사항을 청취하지 않아 이러한 문제가 붉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은다.

교과교실제는 운영하는 학교의 모든 교과에 대한 전용교실을 갖춰놓고,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교실을 찾아 수업을 듣는 방식을 말한다. 이 학교로 지정된 곳에는 최상의 교육 기자재는 물론, 첨단 시설을 구비하기 위해 매년 수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동수업에 따른 불편사항 등을 곳곳에서 제기하고 있다.

한편 시교육청도 이날 교과교실지원단협의회를 통해 향후 교과교실에 대한 구체적은 로드맵과 현장 교사들에 대한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들은 현장에서 겪고 있는 아이들의 불편함과 제도 개선 방향 등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전지역에서는 대전도안고와 대전복수고, 대전고, 유성중, 대전용운중, 대전자운중 등 총 19개 중·고교에서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