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은 그 이름처럼 다양한 역할을 하고있다. 음악을 듣거나 사진을 찍기도 하고 영상도 본다. 또 스마트폰으로 게임도 하고 약속을 저장하기도 하며 날씨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런 눈부신 기술의 발전의 속에서 사람은 더 간편한 기기를 사용하기 원하고 더 좋은 성능의 기기와 프로그램을 원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욕구일 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 이야기 할 블루투스가 개발된 것이라 생각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블루투스라 부르고 있다. 1994년 휴대폰 공급업체인 에릭슨이 시작한 무선 기술 연구를 바탕으로 1998년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의 회사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통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을 기준으로 전세계 1만3000여개의 회사가 SIG에 가입해 블루투스를 활용하고 있다.

`푸른이빨`이라는 뜻의 블루투스는 10세기경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 해럴드의 별명에서 나오게 되었다. 해럴드 국왕의 별명을 딴 이유는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이 통신 장비들을 전부 하나로 통일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라고 전해진다.

블루투스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일까? 아마 수 많은 케이블 기기에서의 해방이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이어폰과 헤드폰의 줄이 잘 엉키고 그 과정에서 회로와 접속이 불량해져 고장도 자주 일어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블루투스 헤드폰을 사용하면 케이블이 전부 사라지게 된다. 약 10m 안의 짧은 거리에서 저전력의 무선연결을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블루투스의 원리는 2402㎒-2480㎒의 총 79개 채널을 통해서 정보를 전달한다. 이 주파수의 영역대를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이라고 부른다. ISM은 과학 의료용으로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할당한 주파수이므로 전파사용에 대한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는 영역대다. 허가가 필요없기에 다른 시스템들도 이 영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에 전파 간섭의 위험이 있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이란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호핑이란 기술은 약 79개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데이터를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을 말한다. 약 1초에 1600번 79개의 채널을 호핑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동기화라고 말하는 부분이 이 호핑 패턴을 두 기기가 서로 일치시키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분되어 있는 블루투스기술은 이 호핑 패턴을 일치시켜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보통 한 개의 마스터에는 약 7개의 슬레이브가 연결될 수 있지만 슬레이브 기기끼리의 통신은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역할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에 필요에 따라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바꿀 수 있다.

블루투스의 문제점은 무엇이 있을까? 처음에 개발되었을 당시엔 전송속도의 문제점이 가장 심각했었다. 하지만 기술이 개발되면서 전송속도도 점차 빨라져 이제는 24Mbps로 전송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아직도 남아 있는 문제가 바로 보안이다. 물론 더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좋은 보안 시스템이 구축되겠지만 아직까지는 블루투스는 해킹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우람 명진교육 쌤학원 과학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