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노선 문제를 놓고 이웃 충청 지자체들 간에 냉기류가 흐르는 모양새다. 이 고속도로는 현재 수도인 서울과 장차 행정수도로 도약이 확실시되는 세종시를 잇게 될 광역교통 인프라로 규정된다. 세종시를 비롯 인접 지자체들과 주민들 입장에선 지역의 정서적인 자산 같은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고속도로 건설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남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 다만 경유 노선 문제가 뜨거운 감자가 될 경우 자칫 지자체간 갈등·대립 구도로 오염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낳게 한다.

지자체들의 시각차가 발생하게 된 것은 오는 2022년 1차 완공예정 구간인 서울-안성 노선을 지나 충청권으로 진입한 이후의 경유 노선 설계 때문이다. 세종시와 천안시는 천안 병천면을 통과해 세종시로 연결되는 이른바 `원안` 찬성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에 충북도와 청주시는 용역을 의뢰해 도출된 2개 수정안을 국토부에 제안해 둔 상태라고 한다. 두 수정안은 고속도로 기점을 같은 세종시 권역이라도 어느 곳으로 하느냐와 함께 각각의 경우를 기준으로 경유하게 될 충북 지역 주요 읍·면의 연결점 명기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돼 있다. 요약하면 세종 ·천안시측은 비용편익분석(B/C)에 기초해 경제성·타당성 논리를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충북도·청주시 측은 7조 5000억 원대 사업인 만큼 청주 경유 대안이 반영돼야 주변 지역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다는 논리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두 도시를 중심으로 왕복운행되는 일종의 배타적 도로망 성격을 띨 것이다. 이만한 교통 인프라가 세종시 권역에 구축되는 일이므로 한쪽은 직선 주행에 가까운 원안에 동의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다른 한쪽에선 역지사지라는 관점에서 수정안을 통해 경합하겠다는 것으로 정리된다. 이런 양측의 간극이 어느 시기에 좁혀질지 아니면 평행선을 긋게 될지 가늠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럼에도 인접 지자체간 2대 2 대결 양상이 구조화되는 일은 경계돼야 한다. 논 물꼬 싸움하듯 골이 깊어지면 사후 후유증도 비례하게 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