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와 정부가 납득할 만한 충주댐 피해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궐기대회 등 집단행동에 나설 것을 분명히 밝힌다."

충주댐에 대한 주변지역의 불만이 한계에 이르렀다. 충주댐이 지역의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댐 건설 당시 지역 발전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는 기대는 물 건너 간지 오래다. 지금까지 충주댐을 운영하는 한국수자원공사는 1000만 수도권 시민의 식수원 보호라는 명분으로 지역민들의 요구를 철저하게 무시해 왔기 때문이다. 댐 피해에 대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피해 주민들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수자원공사는 마을에 비석을 세워주고 잔치를 열어 `우는 아이 사탕하나 던져주는 식`으로 입막음을 해왔다. 이 때문에 내륙에서 물이 가장 많이 보인다는 천혜의 환경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30년 넘게 방치하다 보니 지역이 낙후됐다.

더구나 충주댐은 전기와 용수 판대로 한 해 1000여 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지역에는 `감나무 까치밥` 정도로만 생색을 내고 있다. 충주댐에서 번 돈을 권력자의 입맛에 맞는 4대강 사업에 쏟아 붇기도 했다.

이 때문에 지역 불만은 극에 달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갈등의 근원에는 수자원공사의 `불통`이 존재한다.

수자원공사는 공원을 없앨 때도, 지역 산천을 초토화시키는 2000여 억원의 치수능력증대사업을 진행하면서도, 조정지댐 소수력 발전시설을 추진하면서도 지역에 통보만 있었을 뿐이지 협의는 없었다.

그러나 세상이 많이 많이 바뀌었다. 손 안의 작은 네모난 상자에서 오만가지 세상사를 다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눈 가리고 아웅`하던 시대는 지났다는 뜻이다. 이제부터라도 스마트 시대에 맞게 쌍방향 소통이 필요하다. 사업 시행전에 미리 지역과 충분한 협의 후에 추진한다면 더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에서도 국가에 필요한 사업이기에 부작용을 최소화 해준다는 약속만 한다면 협력적인 모습으로 다가 올 것이다. 특히 수자원공사는 지역을 불만을 제기하는 민원의 주체로 보지 말고 함께 하는 공생관계로의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 얽힌 실타래를 풀 수 있는 방법도 여기에 있다. 지역민과 손잡고 웃으며 함께 걸어갈 수 있는 수자원공사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진광호 충주주재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