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대선정국에서 핵심의제로 부상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문제에 대해 대선후보들과 각당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그래서 평가할 부분은 평가해 줘야 한다. 이번 대선은 세종시와 행정수도를 등치시키는 데 가장 힘있는 동력을 뽑아낼 수는 적합한 기회이기도 하지만 정치권과 대선후보들이 동시에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일이 한층 수월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제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세종시청을 찾아와 "개헌안에 세종시 행정수도 명문화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필요한 때 필요한 대목을 짚었지 않았나 싶다. 의미를 부여하면 헌법에 의해 막힌 세종시 행정수도 문제를 개정헌법에 명문화해 마침표를 찍겠다는 것으로 이 방법 이상의 확실한 처방이 없다는 점에서 간명한 논법이라 하겠다. 이런 흐름은 주요 대선후보들의 인식과 궤를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충청을 방문하게 될 대선후보들을 비롯해 2선에서 선거지원에 나서는 각당 지도부들 역시 동일한 인식을 공유하는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할 것이다. 부연하건대 정치권은 행정수도 논의에 관한한 우선적으로 이를 완결하기 위해 상호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 대선을 앞둔 시점이라서 표심을 의식하는 측면을 부정하기 어렵지만 원칙적으로 행정수도 정책은 선거논리와 정파논리를 허물면서 뛰어넘을 때 길이 뚜렷이 보이는 국정과제다. 그런 수준의 각성으로 무장돼 있어야 대선 후 정국에서 여야 정치권이 이를 속도감 있게 추동해 나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선 전에 비해 긴장감이 실종되면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를 통해 성문헌법 절차를 끝내는 일정이 불안정해질지 모른다.

이와 병행해 정치권이 사전에 신경 쓸 일들에 대해선 쾌도난마식으로 추진했으면 한다. 미이전 중앙행정부처들을 세종시에 합류시켜야 할 것이며 행정비효율과 관련된 국회의 분원설치 및 개원 시점도 시간을 앞당기도록 설계하는 게 맞다고 본다. 이런 조건과 환경이 진행된다 해도 세종시가 본질적인 행정수도로 온전히 기능하기 위해선 지역경제 역량이 충분히 보강돼야 한다는 점도 염두에 둘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