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등록일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주요 후보들 간에 합당, 단일화 문제가 상대 후보에 대한 공격용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지지율을 놓고 물고 물리는 싸움을 전개하는 후보들 심정은 아마 표가 되는 일이면 찬물 더운 물 가리고 싶지 않을 듯 하다. 주요 5당의 대선후보로 선택된 이상 대선 투표일까지 완주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또 그래야 유권자들도 표를 주고 싶은 후보를 탐색하는 시간을 벌 수 있다.

일말의 의구심이 들면 묻고 답변하는 과정에서 선을 분명히 그어줄 필요가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경우 어제 대선 후 집권했을 때 민주당과 합당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에 당선돼도)그럴 일 없다"고 답했다고 하는데 판단은 유권자들 몫이 됐다. 이런 질문도 오갈 수는 있다고 본다. 소수 정당의 힘으로 국정을 운영해 나갈 수 있겠느냐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고 이에 안 후보는 부동의한 것으로 정리된다. 대선일까지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긴가민가 싶으면 짚고 넘어가기는 해야 한다. 유권자들이 특정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것은 현재의 정당기반과 정강 정책이 대선 후에도 존속된다는 전제를 담보로 한다. 그러므로 대선 승패를 떠나 정당간 내적 논리가 작동돼 의회권력을 재편한다면 표심을 왜곡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대선 후 임의의 합당 시도 뿐 아니라 공식 선거운동 기간의 후보 단일화 문제도 지목받는 후보 선에서 자의든 타의든 불식시켜버려야 뒤가 깔끔해지게 된다. 이런 시선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아 보이는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최근 두세 차례에 걸쳐 자유한국당 후보 등과의 단일화 의혹을 일축한 바 있는데 진심이면 굳이 신경전을 펴는 모습은 무익하다 하겠다.

사실상 지금 대선 대결구도는 고정 값으로 굳어졌다고 봐야 한다. 더구나 후보 등록 후에는 각당에 선거보조금이 지급될 것이고 대선 후에도 득표율 구간에 따라 별도의 선거비용을 보전받게 된다. 우리 정당민주주의도 이 수준으로 활착돼 있는 것이다. 각당 후보들은 페어플레이에 주력하면서 정책·공약에서 꾸준히 변별력을 보여주다 보면 표심은 주목하게 돼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