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이후 여성에게는 폐경에 따른 육체적·정신적 변화가 발생하며 다양한 질환도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노화의 한 과정으로 큰 문제 없이 지나가기도 하지만 상당수의 여성들은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만큼 증상이 심하거나 심각한 문제가 예측될 때는 적합한 예방법과 치료가 필요하다. 강지현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여성 갱년기에 대해 알아본다.

◇폐경과 갱년기= 폐경은 여성의 일생에서 마지막으로 경험하는 월경을 의미한다. 폐경은 평균 51세(한국인의 경우 48세)를 정점으로 한 전후 5-10년간이며, 갱년기는 폐경 전의 가임기로부터 생식능력을 상실하는 폐경 후 노년기로 점진적으로 이행하는 폐경전후 3-4년의 기간을 말한다.

난소의 노화현상은 40대 들어 현저하며, 50세 전후가 되면 난소 역할이 사실상 정지된다. 갱년기에 이른다고 해서 어느 한순간 갑자기 월경이 정지되는 것은 아니며, 처음에는 월경주기가 빨라지다가 얼마 후에는 불규칙해지고 배출되는 혈액의 양에도 변화가 나타나다가 폐경에 도달하게 되며, 개인에 따라 폐경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기간도 다르다.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생성된다. 이 두 가지 호르몬 중 에스트로겐이 여성을 여성답게 만드는 대표적인 성호르몬이다. 이 에스트로겐은 사춘기의 2차 성징을 발현시키고 사춘기 이후 여성생식기에 작용해 주기적인 월경유지, 배란, 임신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비뇨생식기, 유방, 근골격계 등 몸 전체에 걸쳐 전신적으로 다양한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게스테론은 주로 자궁과 유방에 작용해 임신을 유지시키고 유선을 발육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난소가 노화됨에 따라 이 두 가지 호르몬의 생성이 감소되며, 특히 에스트로겐의 부족으로 인해 인체에 여러 신체적·정신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우리가 겪게 되는 `갱년기 증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여성 갱년기의 증상 및 진단= 갱년기에는 복잡한 혈중 호르몬의 변화가 나타난다. 흔하게 본인이 느낄 수 있는 증상으로는 가장 먼저 월경 주기의 단축이 온다. 곧이어 반대로 월경기간의 연장이 오며, 불규칙한 주기에 이은 출혈기간의 연장, 월경과다 등 생리주기의 이상이다.

폐경기에 나타나는 증상을 시기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후유증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흔하게 먼저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얼굴의 화끈거림이다. 평균 3분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얼굴이 갑자기 붉어지고 불쾌한 열감이 생기며, 전신으로 퍼져가는 느낌이 들곤 한다. 또 폐경으로 접어드는 시기에 있어 많은 여성들이 수면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 이외에도 식은땀, 가슴의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때로는 불안감, 우울증과 같은 신경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갱년기 증상들은 폐경의 전후나 수술을 통해 갑작스럽게 난소가 제거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받았을 경우에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증상자체가 신체적으로 해로운 것은 아니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비뇨생식계의 위축이 보인다. 이로 인해 성교 중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잦은 방광내 감염(오줌소태)과 질염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여성은 특히 관절과 근육계통의 통증이 많이 발생한다. 폐경 후 10년 이상 시간이 더 경과하면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고, 심혈관계 질병으로의 이환율이 증가한다.

폐경의 진단은 개개인이 경험하는 증상이 가장 중요하며, 확인을 위해 혈중 여성호르몬을 측정하기도 한다. 특히 자궁적출을 받은 환자에서 난소가 보존된 경우는 증상을 통한 폐경의 진단은 적당하지 않으므로 폐경기의 일반적인 증상과 호르몬 측정을 통하여 확진을 한다.

◇호르몬 치료= 호르몬 치료는 조기폐경환자(40세 이전에 폐경이 된 경우)와 폐경기 증상이 있는 갱년기 여성, 그리고 증상이 없는 여성에게는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 선택하게 된다. 폐경직후에 호르몬 치료를 받은 여성은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성호르몬의 부족이 폐경의 가장 우선적인 이유인 것을 감안해 여성호르몬을 투여한다.

자궁이 없는 여성의 경우는 에스트로겐 호르몬 단독 요법으로 하는데 경구(먹는약), 질정(질내 삽입) 등 개인의 편의에 따라 선택한다. 자궁이 존재하는 폐경 여성의 경우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두가지 호르몬이 요구되는데 월경 같은 규칙적인 질 출혈을 원하는가 혹은 원하지 않는가에 따라 투여하는 방법을 달리한다.

호르몬 치료의 가장 큰 목적은 갱년기 장애를 겪는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것이다. 안면홍조는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나타나 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고 불면증까지도 야기 시키며, 심한 경우 집중력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호르몬 대체요법을 할 경우 이러한 안면홍조의 중증도와 발생횟수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정신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여성에게 `건강한 노화` 혹은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서는 개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폐경전·후 여성의 일상생활에 장애를 주는 갱년기 증세와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예방적 노력은 여성의 노년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