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열리지도 않았는데 지역 연극인들에게 유명세를 타는 연극 축제가 있다.

대전 청년연극제 얘기다. 대전연극협회가 추진하려는 청년연극제는 지난 해까지 열린 시민연극페스티벌의 이름을 바꾼 것이다. 취지는 좋다.

지역 청년 연극인을 발굴하고 이들이 지역에서 터를 잡을 수 있도록 기회를 준다는 것이다. 기회를 얻지 못해 서울로 떠나는 청년 연극인들이 솔깃할 만하다.

그러나 이 같은 취지의 청년연극제가 열리기도 전에 논란이 가시지 않는다. 이유를 알자면 먼저 연극협회가 시민연극페스티벌을 청년연극제로 변경한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전시가 대전연극협회의 시민연극페스티벌을 `청년 예술인 육성 정책`과 연계시켜 시 정책에 얹히려 했던 게 발단이다. 지역 문화예술의 저변확대와 청년예술인 지원이라는 문화예술 정책을 담으면 대전시에서 예산을 지원할 근거나 타당성이 높아지고 시 역시 성과를 낼 수 있다. 대전연극협회는 시의 제언을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청년연극제가 추진된다는 이야기에 지역 연극계 등에서 의문을 제기했다.

2012년부터 대전민예총 등의 주최로 진행되고 있는 청년유니브연극제와 비슷한데 지원 예산은 3배 이상이 차이 난다. 형평성이 어긋난 행정에 연극계에서는 서운하다 했다.

시의 행정편의주의도 문제를 곪게 했다.

대전예당 공연장의 대관 제공의 경우 지역 연극을 큰 공연장에 올리는 기회를 대전시가 주는 것이지만, 대전연극협회에만 준 게 근본적 문제가 됐다. 연극협회가 권한을 가지며 기획사들에게 후원금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관행으로 받아왔다는 것이다. 이를 관리감독할 시는 손을 놓았고 대전연극협회는 관행이라는 이유로 지적을 외면했다. 이는 시가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 정책에 대한 고민 없이 정책의 성과를 내기 급급한 무리수에서 빚어진 결과다.

청년연극제 논란을 보면 수돗물 정책의 아이러니가 떠오른다. 시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키 위해 수돗물 정책을 추진하지만 배관관리가 되지 않아 정작 가정에서는 녹슬고 이끼가 낀 배관을 지나온 물을 받게 된다. 청년연극제 역시 취지는 좋으나 여러 문제점이 녹아들면서 틀기도 전에 이끼가 끼어버린 수돗물처럼 됐다. 시가 개선안을 모색, 제대로 추진할 방침을 내보인 건 당연지사다. 관리감독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