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 추가인상시 7%까지 오를 수도

오는 9월 결혼을 앞둔 이모(33·대전 서구 변동) 씨는 신혼집을 마련하고 싶지만 계속 오르는 금리 탓에 고민이 크다. 현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가 연 5%에 육박해 있어 집을 사기 위해 1억 원을 빌리면 매년 500만 원에 달하는 이자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예비신부도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연 500만 원을 이자로 내기에는 벅차다는 것이 이 씨의 설명이다.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것도 문제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고, 이에 따라 국내 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씨는 "금리가 하루가 다르게 올라, 집을 사겠다는 계획은 어려울 것 같다. 앞으로도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크다는 것이 비관적"이라며 "맞벌이를 한다 해도 이자로 큰 비용이 나가면 말 그대로 하우스 푸어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27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하나·신한·우리·국민·농협)의 주담대 평균 금리는 지난달 말 3.37-4.52%에서 지난 21일 3.464-4.618%로 평균 0.09%포인트 올랐다.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의 상승 속도가 무서울 정도인데, 지난 1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이하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해 안으로 두 차례, 앞으로 3%까지 올리겠다고 예고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3.5% 수준까지 올리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데, 경기침체 우려로 당장 인상이 부담스럽지만 미국에 금리가 역전되면 급격한 자본유출이 우려돼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 3% 시대가 되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연 7%까지 뛸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0.75-1%이다. 1억 원을 대출 받았을 경우 매년 700만 원에 달하는 이자를 납부해야 한다는 의미다.

대출금리 인상은 가계대출을 이미 받은 사람에게는 이자 부담을 가중시켜 소비위축을 불러오고, 대출을 받으려는 이들은 대출부담이 커져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자부담이 커질수록 분양을 받으려는 수요는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를수록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크다. 가계부채는 이미 1300조 원을 넘어선 상황이고, 부동산시장도 침체가 우려돼 주택을 담보로 대출 받은 이들의 어려움이 더욱 클 것"이라며 "대출을 받기 전에 상환이 가능한지 충분히 따져보고, 기존 대출자들도 금리상승 속도를 지켜본 뒤 고정금리로 갈아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