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재를 실 형태로 짜서 옷감에 저항변화메모리의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전자옷감이 개발됐다.

저항변화메모리는 저항변화 특성을 갖는 물질이 절연체 혹은 전도체로 저항이 변한 상태가 유지돼 각각의 상태의 전도성을 기준으로 0과 1을 구분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뜻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세대 전자메모리로 주목받는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를 직물형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미정 교수(국민대)·황철성 교수(서울대) 공동연구팀은 알루미늄이 코팅된 실과 탄소섬유의 접합(2층 구조)만으로 저항변화 특성이 나타나는 전자옷감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금속-절연체-금속의 3층 구조로 저항변화 층이 만들어졌다. 이번 연구는 보다 간단하게 알루미늄과 탄소섬유만으로 저항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알루미늄 표면의 자연산화막(native oxide layer)과 탄소섬유의 접촉면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으로 산소의 빈 자리가 생성되고 사라지는 반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안정적인 저항변화가 나타났다.

개발된 전자 옷감은 일반 실의 형태로 짤 수 있어 완전한 옷감의 형태를 가진다. 천 위에 소자를 집적하거나 인쇄하여 착용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했던 기존의 전자옷감과는 차별화된다. 소자의 성능도 그대로 유지된다. 구부러지거나 뒤틀리거나 세탁을 해도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여러 소자를 어레이 형태로 이어서 작은 부분의 소자 손상이 있어도 성능이 유지된다.

이미정 교수는 "이 연구는 전자소재를 실 형태로 직조해 완전히 옷감화된 저항변화 메모리를 개발한 것이다. 고가의 복잡한 반도체 장비 없이 기존의 섬유산업에서 사용하던 장비 및 기기를 그대로 활용하여 대면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며 "다양한 스마트패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