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 피해 규모가 연간 10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환경 당국과 학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사회적 편익을 보수적으로 책정 산출했다고 한다. 소비와 산업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을 더하면 이보다 훨씬 커진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40여 년 뒤인 2060년에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과 연간 국내총생산(GDP) 손실 비율이 OECD 회원국중 1위가 될 것이라는 암울한 경고도 나왔다. 이런 경고가 환경문제를 넘어 생존권과 직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국민적 관심사가 됐지만 미세먼지 상태는 개선되기 보다 되레 나빠지고 있다.

미세먼지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고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인식되면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국민들의 노력은 눈물겹다.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기 청정기 구입이 줄을 잇고 있다. 빨래를 바깥에 널지 못해 실내 의류 건조기를 구입하며 올들어 매출이 작년 동기의 16배까지 올랐다. 산소 캔, 코 마스크, 공기정화식물 구입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가욋돈이 들어가는 만큼 여유가 있는 가정의 얘기다. 저소득층은 구강 세척제, 마스크 등 개인위생용품에 의지하고 유리창에 차량용 필터 설치가 일반화 됐다.

국민들이 미세먼지를 이겨내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은 헛바퀴만 도는 모양새다. 지난해 봄 황사와 미세먼지 홍역을 치른 후 종합 특별대책, 보완 대책 등을 내놓았지만 성과가 없다. 지난 21일 서울의 공기 질이 인도 뉴델리에 이어 세계 주요 도시 중 두 번째로 나빴다. 이날까지 발령된 초미세먼지 특보(경보·주의보)도 85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 41회, 2015년 51회와 비교된다. 석탄화력발전소가 밀집돼 있고 중국의 영향을 쉽게 받는 충남 서해안 공기질도 이에 못지않게 나쁠 게 뻔하다.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은 걱정만 하고 변죽만 올릴 때가 아니다. 주요 배출원인 석탄 화력발전소 감축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중국발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억제 대책 요구는 물론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