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직업 명칭은 사실 모호한 것들도 많다. 우리가 직업으로 알고 있는 호텔리어도 호텔종사자라는 의미이지 직업은 아니다. 호텔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 조리사나 바리스타까지도 호텔리어라고 했다. 최근에 이들이 각자의 직업 명칭을 찾아가면서 지금 호텔리어에는 호텔 음식 파트에서 일하는 사람은 해당되지 않는다.

호텔 업무는 일반적으로 객실 파트, 사업 파트, 음식 파트, 부대시설 파트 등 4가지 분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중 음식 파트는 대개 독립된 부서로 호텔리어가 관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음식 파트라도 호텔에 따라서 호텔리어가 관리를 맡고 조리사가 실무를 맡아 일하기도 한다. 호텔리어는 음식 파트 이외의 부서를 돌아가면서 근무하는 순환 근무를 주로 하였지만 요즈음에는 파트별로 전문화하여 한 부서에서만 일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객실 파트는 프론트 업무 부서라고도 하는데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을 맞이하여 호텔을 떠날 때까지 예약, 접수, 짐 챙기기, 객실 서비스, 공항 영접 등 여러 가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한다. 이 부서에서는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우리가 보통 호텔리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호텔리어가 근무하는 하나의 부서일 뿐이다.

사업 파트는 호텔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호텔 시설들을 관리하고 사업을 기획하며 호텔을 홍보하는 일을 하는 부서이다. 이 부서에 근무하는 호텔리어는 고객을 상대하지 않고 내부적 업무만 취급하기 때문에 `안 보이는 뒤에서 일하는 부서`라는 의미로 객실 파트를 `프런트 오피스(Front office)`라 하는데 대하여 `백 오피스(Back office)`라 한다. 다 같은 호텔리어이지만 이 부서의 사람은 일반 회사 직원과 같은 근무 환경에서 일을 한다.

부대시설 파트는 부대시설이 별로 없거나 규모가 작은 호텔에서는 사업 파트에서 관리한다. 호텔의 리조트, 수영장, 회의실, 카지노, 아케이드, 면세점, 사우나, 휘트니스 클럽 등등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일을 한다. 시설 규모가 큰 경우에는 각각의 시설 책임자를 중심으로 별도의 직원 체계를 가지고 운영하기도 하지만 부대시설 담당 부서에서 직접 운영하기도 한다. 직원들 또한 시설의 성격에 따라서 24시간 교대 근무하는 곳도 있고, 일반 회사처럼 근무하는 곳도 있다.

호텔리어의 직급 체계도 호텔마다 다른데 일반적으로 객실 파트에서는 사원-주임(슈퍼바이저)-캡틴-매니저-지배인-부총지배인-총지배인과 같은 직급 체계를 가지고 있고 기타 부서에서는 일반 회사처럼 사원-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사장 등의 직급 체계를 가지고 있어 이원화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객실 파트의 총지배인은 이사급이라고 보면 되는데 호텔의 사정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2015년 말 기준으로 국내에 총 1488개의 호텔급 숙박시설이 영업 중이며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국가 자격증 소지자도 24만 1823명이 된다. 호텔 이외의 숙박시설도 5만 2000개를 넘으며 종사자도 17만 명을 훨씬 넘고 있지만 우리가 호텔리어라고 부를 때에는 적어도 호텔급 이상의 숙박시설에 종사하는 사람을 뜻한다고 하겠다.

호텔리어로 취업하는 데에는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하거나 호텔경영 관련학과를 졸업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에 외국어 실력이 필요하고 영어와 제2외국어를 할 수 있으면 더욱 유리하다. 유명 호텔의 경우에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영어 실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현재 국가자격증으로는 호텔서비스사, 호텔관리사, 호텔경영사 등이 있는데 호텔리어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자격증보다는 인성과 매너, 그리고 외국어 실력이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

호텔에 따라서 급여 수준이 다른데 특급호텔일수록 급여나 후생복지가 좋다.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자료에 의하면 호텔리어는 평균 3534만원 정도의 연봉을 받으며 근무하는 호텔과 부대시설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받기도 한다. 윤세환 청소년 라이프 디자인센터대표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