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신도심(행정중심복합도시) 상가시장이 고분양가에 따른 대규모 공실이라는 극심한 홍역을 앓고 있다. 공실의 배경을 놓고 LH의 최고가낙찰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무차별한 인허가 등이 이유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상가시장이 현재 겪고 있는 홍역은 인위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목소리가 앞선다. 상가의 임대료가 아무리 높아도 수요층이 발생하면 장사가 되기 마련. 세종시 첫마을 개발 개시 당시 월 임대료가 500만-600만 원에 달하는 곳에서도 장사진을 이룬 곳이 많았다. 오히려 수 억 원대 권리금이 붙어 투자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것. 상가의 높은 임대료가 공실의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엿볼 수 있었다.

행복도시 착공 10주년이 된 현 시점의 사정은 다르다. 세종시 전체 인구가 25만 명을 돌파하고, 도심 곳곳에서 상가빌딩이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다. 상식적으로는 볼 땐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에서 상가시장이 북적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세종시 상가시장은 이러한 상식이 통하지 않는다. 공동주택의 입주가 완료되면 배후단지에 유동인구가 늘어 수요층이 발생해야 하지만 텅 빈 도시의 모습이 지속적으로 연출되는 것.

공무원 도시이기 때문이다. 또한 젊은층 인구가 많은 탓이다. 세종시 신도심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공무원들의 소비활동은 극히 제약적인 탓에 상가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데 한계점이 있다"며 "또한 계급사회인 공무원 특성도 상가시장의 불황을 부채질 한다"고 말했다. 세종시 신도심 위치한 사우나에는 공무원들이 출입을 꺼린다는 웃지 못할 소문까지 돌고 있다. 퇴근 이후까지 상가시장에서 회사 선배들을 만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젊은층이 많다는 것도 이유. 20-30대의 젊은층들은 오프라인 보다는 온라인 소비를 선호한다.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세종시 상가시장에 의류점 등이 없다는 것도 이 같은 소비패턴을 반영하고 있다.

결국 침체된 세종시 상가시장을 살리기 위해선 공무원들의 닫힌 지갑을 열기보다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외부인구 유입에 따른 시장 활성화가 가장 큰 목적이다. 세종시 신도심은 향후 국립수목원, 박물관, 아트센터 등 대형국책사업이 즐비하다. 이러한 사업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추진해 관광객 유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주장이다. 굵직한 기업유치는 병행돼야 할 과제다. 이 시점에 현재 행복청이 규제하고 있는 점포 입점 제한이 풀리게 되면 침체된 상가시장을 살릴 수 있다는 것. 행복도시 착공 10주년이다. 시장이 겪고 있는 홍역을 `시간이 약`이라는 무책임한 처사 대신 근본적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때이다. 취재2부 강대묵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대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