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부진에 부동산 시장위축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Fed의 금리 인상은 국내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빚이 많은 가구의 원리금 부담 가중 등으로 인해 소비·부동산시장 위축 등 시장 전반이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16일 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고, 연말까지 2차례 추가인상을 예고했다. 연말까지 2차례 인상되면 미국 기준금리는 1.25-1.5%까지 상승해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를 역전하게 된다.

우선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소비 부진이다. 현재 국내 가계부채 규모는 약 1300조 원으로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 부담이 높아져 소비가 부진에 빠질 수 있다. 한국은행은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추가 이자부담은 9조 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8개월째 동결중이지만 시장 금리는 이와는 달리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올해 1월 시중은행 6곳(신한·KB국민·KEB하나·우리·농협·기업)의 분할상환방식 만기 10년 이상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3.3-3.58%였지만, 이는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0.12-0.18%포인트, 지난해 9월 대비 0.7-0.73%포인트 오른 수치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고 자연스럽게 소비여력 감소로 인한 내수 경기의 악영향이 전망된다. 또 금리 상승은 저신용자·자영업자 등 취약계측부터 부실화시키고, 취약계층의 이자부담은 금융과 실물경제에 영향을 준다.

Fed의 금리 인상에 따라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내리면 국내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고, 기준금리를 올리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음달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의 향방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시장 위축, 소비 부진 등이 예상된다. 다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8개월째 동결한 상황에서 시장금리는 계속 상승한 만큼 큰 폭의 금리 인상은 없을 수도 있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큰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 정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미국 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이미 반영됐고, 점진적 금리인상을 예고한 만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또 미국의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도 과거보다 대외 불균형이 축소돼 이번 미국 금리 인상이 한국을 비롯한 다른 아시아 국가에 부정적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