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당내 경선 룰에 반발하는 일부 대권 주자들과 갈등을 겪고 있다. 형평성 문제가 불씨로 작용했다. 기탁금을 내고 예비 경선을 거친 뒤 본 경선을 갖도록 했으나 예외적으로 본 경선 참여가 가능토록 특례규정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황교안 총리 특례` 존치 여부를 놓고 내홍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당지도부는 어제 부랴부랴 의총을 열어 원안을 추인받았다고 한다.

정당의 경선 룰은 잘못 다루면 분란을 잉태한다. 총선 때 익히 보아온 장면들이다. 하물며 5월 대선을 앞두고 있어 정당들마다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몸살을 겪곤 한다. 국민의당의 경우 내적 갈등에도 불구, 정해진 규정대로 밀고 나가고 있다. 한국당 사정도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비치는데, 조금 시각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우선 한국당 비대위 지도부의 위기관리 능력과 대선에 임하는 전략적 사고 측면에서 당 안팎의 신뢰를 쌓았는지 의문이다. 위기관리 부분은 누가 당을 지휘해도 일정부분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는 게 맞다. 당내 구조화된 계파적 갈등이 대통령 탄핵 사태로 임계점에 이른 형국이라서 뾰족한 처방이 안 보이긴 한다. 나머지 대선 문제는 지도부 역량에 따라 5월 대선이 한번 붙어볼 만한 싸움이라는 분위기를 조성 못할 것도 없다고 본다. 그냥 패배의식에 젖어 있거나 어떤 뜻하지 않은 행운이 따라 주기를 고대한다면 난센스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대권 도전자급으로 머리가 굵은 당내 인적 자원들을 가능한 한 떠 안고 가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이번 경선 룰 대립은 그 반대 상황으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점을 한 셈이다.

이런 양태로 인해 당 지도부가 당밖 기류에 더 민감하거나 다른 생각에 빠져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낳는다. 전혀 근거가 없는 추론은 아닐 것이다. 황 총리 출마 문제도 감안해야 하는 처지인데다 김종인 전 민주당 의원이 주도하는 막판 `개헌 연대`도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 좋으나 일이라는 게 선후가 있다. 내부가 단단하지 못으면 협상력은 떨어지게 돼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